기후리스크 분석

물가와 금융 안정을 위해
기후리스크가 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분석, 연구합니다.

한국은행은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 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발생할 수 있는 위협요인을 사전에 발견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기후변화 관련 스트레스 테스트를 비롯한 조사연구를 수행한다. 기후변화 전환리스크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을 통해 평가하고, 글로벌 기후정책 및 물리적 리스크에 따른 영향 등 잠재적인 위협요인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전환리스크로 인해 국내은행의 BIS비율은 2050년 경까지 2.6~5.8%p 하락할 전망 / 2℃ 시나리오 (BIS비율) 20 16.5, 30 15.9, 40 15.3, 50 13.9, (하락분) 20 0, 30 -0.7, 40 -1.3, 50 -2.6 / 1.5℃ 시나리오 (BIS비율) 20 16.5, 30 15.4, 40 14, 50 10.9, (하락분) / 주 : 1) 규제기준은 10.5% (d-sib 11.5%)

1. 전환리스크 연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내외 환경규제와 저탄소경제로의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환리스크가 우리나라 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테스트 등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고 있다.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적 피해를 줄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고탄소 산업에는 자산가치 하락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제조업 비중이 높은 데다 이들 산업에 대한 금융부문의 익스포저(대출・채권・주식)도 크기 때문에 고탄소산업 관련 자산가치 하락이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강수량이 1m 증가하면 지역내 총생산의 장기 성장률이 -2.54%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 /행정구역별 연 총강수량 변화의 일인당 지역내총생산 장기성장률 한계효과 서울 -2.54%, 경기 -2.01%, 인천 -3.43, 강원 -1.67%, 충남 -3.06%, 대전 -4.03%, 충북 -1.30%, 전북 -1.00%, 전북 -2.54%, 광주 -3.75%, 경북 -2.54%, 대구 -3.11%, 경남 -2.54%, 울산 -1.13%, 부산 -2.54%, 제주 -2.54%  / 주 : 연 총강수량 한 단위(1m) 증가에 대한 행정구역별 한계효과를 나타냄.

2. 물리적리스크 연구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물리적리스크가 실물경제, 산업별 산출량, 금융산업 건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NGFS에서 제공하는 기후 시나리오, Kalkuhl & Wenz(2020)의 피해 함수 등을 활용하여 기후 리스크의 피해규모 등을 실증 분석하였다. 기후 리스크 발행 확률 및 피해 규모에 대한 분석은 기후변화 피해 대책 마련과 더불어 경제주체들의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동기부여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해외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주요산업의 부가가치 가 큰 폭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 / 국내 주요 산업의 수출액 변화 자동차(-11.6~  -23.9%, 2023~2100년 누적기준, 이하  동일), 정유(-9.7~-19.1%), 철강(-7.2~  -15.6%) / 주 : 1) 기준시나리오 대비 변화(2023~2100년 누전 기준). 기준시나리오는 우리 경제가 기후리스크 충격 없이 기준 추세대로 성장하는 시나리오. 2) 음영은 하위 5%와 95% 변화폭 사이의 구간을 나타내며, 동그란 점은 부가가치 변화 기댓값으로 교역 대국의 GDP 변화 기댓값에 상응하는 수치를 의미.

3. 해외 물리적리스크의 국내 파급영향

해외에서 발생한 물리적리스크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충격은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수출입 경로를 통해 국내 경제에 파급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및 농축수산물 공급충격은 수입가격 상승을 야기하며, 기후변화 피해에 따른 교역 상대국의 소득감소는 국내 수출품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국가별 화석연료 발전 비중 현황 / 한국(2021년기준)은 64%로 일본(73%)및 미국(60%) 보다 다소 낮거나 비슷한 반면 독일(47%), 영국(44%), 프랑스(9%)등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특히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7%로 주요국 (미국 21%, 일본 21%, 영국 42%, 독일 42%, 프랑스23%)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에 있다

4. 국내외 기후 대응 동향

온실가스 배출량 국제비교, 수출산업의 EU 탄소국경조정 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대응 여건, 국내 배출권 거래시장 동향 등 국내외 기후 대응 관련 규제·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