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

기후변화는
인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로 모두가 함께 협력해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제기구, 정부, 민간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경험 및 사례를 공유하고, 국내 여건에 맞는 정책을 개발, 제언하는 등 다양한 부문에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은행과 대내외 기후리스크 대응 조직체계

[국내협력] 2050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대통령 직속의 탄소중립 정책 컨트롤 타워, 2050년 탄소중립 이행 로드맵 설정, 205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 / 환경부 배출권거래제 운영, 목표관리제 운영, 녹색분류체계 마련,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마련(금융위 공동), 환경정보 공시체계 마련(금융위 공동) / 금융위·금감원 금융회사 대상 기후리스크 관리·감독계획 마련, 정책금융기관 녹색금융 확대 방안 논의 [국제 협력] / G20 지속가능금융 활성화 논의 / NGFS 기후 시나리오 설계 및 스트레스 테스트, 기후대응 통화정책 방안 논의, 중앙은행 넷제로 방안 논의 / BIS·BCBS 기후 건전성 규제 체계 마련, 기후데이터 확충 / FSB 기후데이터 확충 [국내협력, 국제협력] 한국은행 기후리스크의 경제적 영향 분석(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후 대응 통화정책 검토, 국제기구 워킹그룹(5개) 참여, 현안·이슈분석, 외부공동연구
[국내협력] 2050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대통령 직속의 탄소중립 정책 컨트롤 타워, 2050년 탄소중립 이행 로드맵 설정, 205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 / 환경부 배출권거래제 운영, 목표관리제 운영, 녹색분류체계 마련,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마련(금융위 공동), 환경정보 공시체계 마련(금융위 공동) / 금융위·금감원 금융회사 대상 기후리스크 관리·감독계획 마련, 정책금융기관 녹색금융 확대 방안 논의 [국제 협력] / G20 지속가능금융 활성화 논의 / NGFS 기후 시나리오 설계 및 스트레스 테스트, 기후대응 통화정책 방안 논의, 중앙은행 넷제로 방안 논의 / BIS·BCBS 기후 건전성 규제 체계 마련, 기후데이터 확충 / FSB 기후데이터 확충 [국내협력, 국제협력] 한국은행 기후리스크의 경제적 영향 분석(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후 대응 통화정책 검토, 국제기구 워킹그룹(5개) 참여, 현안·이슈분석, 외부공동연구

국내외 협의체 참여

한국은행은 단합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제기구 및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 국외에서는 NGFS, G20 등 다양한 국제기구 워킹그룹에 참여하여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금융감독원 등과 협업하면서 기후변화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한국은행 공동 녹색금융 국제컨퍼런스 세미나 단체 사진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한국은행은 기후변화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알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정책과제 논의의 장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2023년에는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공동으로 「녹색금융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해 학계, 정부, 민간 등 관계자들과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