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물가안정목표를 정하여 국민에게 공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나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합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금융안정에도 유의하여야 합니다.

물가안정은 돈의 가치를 지키는 것이며 돈의 가치는 물가 수준에 좌우됩니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금액을 주고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듭니다. 오늘날 물가안정은 돈을 발행하고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하는 중앙은행이 책임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물가안정 목표를 정하여 국민에게 공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신용정책은 금융시장을 통해 그 효과가 퍼져나가기 때문에 금융시장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통화신용정책이 효과를 거둘 수 없게 됩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세계적으로 중앙은행의 금융안정기능이 강화되어 나가는 추세이며 한국은행도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금융안정을 도모하는 데 적극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역사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와 항상 고락을 함께하여 왔습니다.

  • 광복이전 한국은행 전경
  • 긴급통화조치 시 화폐교환 창구(1953)

1950 ~ 1961 한국은행의 창립

대한민국 중앙은행 탄생 전후 복구와 성장기반 마련

광복 이후 경제적 혼란을 극복하고 자주적인 통화∙금융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은 대한민국 중앙은행으로서 역사적인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그러나 창립 직후 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전란 중에는 경제의 원활한 운용을 뒷받침하고 인플레이션을 수습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습니다.

휴전 이후에는 전후 복구와 경제부흥에 적극 나섰으며, 우리 경제가 점차 안정을 되찾음에 따라 통화∙금융체계 전반을 정비하여 고도성장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 긴급통화조치 단행 후 화폐교환 풍경(1962.9)
  • 수출 100억달러 달성(1977.12)

1962 ~ 1979 한국경제의 도약

한국경제 도약에 필요한 투자자금 공급
금융의 효율성 제고

정부의 성장우선정책에 발맞추어 무역금융, 상업어음 재할인 등 유동성 공급수단을 활용하여 고도성장,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수출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부문에 자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지원하였습니다.

한편 고도성장기를 맞아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되고 국제수지 개선 등에 따른 통화량 급증으로 유동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독자적인 통화량 목표를 설정하여 운용하였습니다.

  • 제40차 IBRD,IMF 연차총회(1985.10)
  • SWIFT 시스템 개통(1992.3)

1980 ~ 1996 금융자율화와 세계화

안정성장 기반 구축, 금융자율화 추진
한국경제의 세계화 지원

정부의 경제정책방향이 성장우선에서 안정우선으로 전환한 데 부응하여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을 긴축기조로 운영하여 우리 경제가 안정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울러 고비용-저효율 구조와 같은 고도성장에 따른 후유증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총액한도대출제도를 도입하고 한은금융망을 구축하는 등 정책시스템을 정비하는 한편 금융자율화와 금융국제화를 적극 추진해 나갔습니다.

  • 제6차 한국은행법 개정 이후 최초의 금융통화위원회 회의(1998.4)
  • IMF 차입금 상환 완료(2001.8)

1997 ~ 2011 금융위기 극복과 물가안정목표제 운용

위기 극복을 위한 역량 집중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1997년 외환위기, 2003년 신용카드사태 및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하여 금리정책을 유연하게 운용하고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위기수습 조치를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1998년 한국은행법 개정을 계기로 금융통화위원회의 기능과 정책 중립성을 강화하고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하여 금리 중심의 시장친화적인 통화신용정책이 뿌리내리도록 하였습니다.

  • 팬데믹 이후 정책과제를 주제로 열린 2023 BOK 국제컨퍼런스(2023.6)
  • 금융안정상황 기자설명회(2024.3)

2012 ~ 현재 글로벌 불확실성과 경제성장 및 금융안정의 조화

통화신용정책의 목적과 책임 확대
글로벌 불확실성 대응체제 구축

한국은행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고 있는 성장세 둔화에 대응하여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새롭게 부여된 금융안정 책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외 불확실성, 최근 코로나19 사태 등에 대응하여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을 체결하고 한시적으로 원화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하는 등 경제·금융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