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표준화

금융업무의 표준화는 사무자동화, 신상품의 개발, 원활한 금융거래 등을 위하여 금융기관 상호간 또는 금융기관과 고객간에 업무처리절차, 양식 또는 매체 등을 통일하는 것으로 주요 표준화 대상업무로는 각종 금융거래 메시지 양식의 통일, 메시지 구성요소의 코드화, IC카드 등 지급결제수단 사양 및 보안 관련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표준화는 1980년대 후반부터 추진되기 시작하였으며 1994년 5월 금융전산망 추진위원회(현 금융정보화추진분과위원회 전신)의 발족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금융업무가 표준화되면 고객들의 금융서비스 이용 편의성이 높아지고 금융기관은 각종 서비스의 독자 개발에 따른 중복투자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지급결제서비스는 표준화된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 및 금융기관이 많을수록 전체 효용이 증가하는 네트워크시스템이므로 관련기술 및 이용절차의 표준화를 촉진하여 호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금융업무 표준화 추진 체계

금융부문의 국내표준화와 관련된 중요사항은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에서 결정하며 사전 심의를 위하여 금융기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표준화위원회를 두고 있다.

1. 참여기관의 표준 제/개정 요청, 사무국에 표준화 제안서 제출 2. 사무국에서 제안서를 접수/검토 후 표준화위원회에 제출 3. 표준화위원회에서 제/개정 필요성 검토 4. 의사록 작성 5. 결과정리 후 (5-1) 제/개정이 필요 없으면 표준 개발 취소 사유 통보 (5-2) 제/개정이 필요하다면 실무협의회에서 표준사업/표준개발자 선정 6. 금융표준 전담기관 등 표준개발 위탁기관에 개발 위탁, 표준초안 개발 7. 사무국에 표준초안 접수 8. 표준화위원회에서 표준초안 검토 후 협의회에 표준초안 및 검토의견 송부 9. 표준안을 심의한 후 결의록 작성 10. 사무국에서 결과정리 및 공문발송 11. 웹 게시

1. 참여기관의 표준 제/개정 요청, 사무국에 표준화 제안서 제출 2. 사무국에서 제안서를 접수/검토 후 표준화위원회에 제출 3. 표준화위원회에서 제/개정 필요성 검토 4. 의사록 작성 5. 결과정리 후 (5-1) 제/개정이 필요 없으면 표준 개발 취소 사유 통보 (5-2) 제/개정이 필요하다면 실무협의회에서 표준사업/표준개발자 선정 6. 금융표준 전담기관 등 표준개발 위탁기관에 개발 위탁, 표준초안 개발 7. 사무국에 표준초안 접수 8. 표준화위원회에서 표준초안 검토 후 협의회에 표준초안 및 검토의견 송부 9. 표준안을 심의한 후 결의록 작성 10. 사무국에서 결과정리 및 공문발송 11. 웹 게시

표준 제·개정 세부절차

표준화 제기
  • 표준화 제기 대상

    -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사무국(한국은행 전자금융팀 bokefp@bok.or.kr )에 표준화 제안 요청

  • 제안서 접수처

    - 사무국 담당자(한국은행 전자금융팀 표준화담당자)

  • 접수방법

    - 표준화 제안자의 소속, 직위, 성명, 연락처 등을 기입하고, 표준의 제목과 제·개정 필요성 등을 기술한 표준화 제안서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운영절차상의 [별지 제5호 서식])를 우편 또는 이메일로 제출

표준화위원회를 통한 제·개정 제안서 검토
  • 제안 요청된 표준 제·개정 건에 대한 추진 타당성 검토

    - 표준 적용 여부 및 기타 사항 결정

  • 제·개정 필요성 검토

    - 검토 결과 및 표준 적용 여부 등 표준 제·개정 필요성 검토

  • 작성된 표준초안 검토

    - 표준개발자는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운영절차상의 [별표 1], [별표 2], [별표 3]에 맞추어 표준초안을 작성

  • 작성된 표준 제정(안)은 표준화위원회 위원장의 판단에 따라 외부전문가 의견 수렴
개발이 취소된 경우, 취소사유에 대해 제안자에게 통보
실무위원회의 역할
  • 표준화 사업선정
    • 실무협의회는 제기된 안건을 심사하여 표준화 사업으로 선정하고 표준개발자 선정
표준 제·개정 승인
  • 표준 제·개정(안) 승인
    • 검토가 완료된 표준(안)은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에 제출
    •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승인을 통해 표준 제·개정 승인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디지털화폐연구부 전자금융기획팀
전화번호
02-750-6649, 661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