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리스크 관리

1. 운영리스크 관리 개요

  • 한국은행은 화폐 발행, 통화신용정책 수행, 지급결제제도 운영 등 중앙은행 본연의 업무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조직의 내외부에 잠재되어 있는 리스크 요인들을 식별하고 통제하는 리스크 관리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운영리스크란 부적절한 업무 프로세스나 시스템, 직원관리 미흡 또는 외부사건으로 인해 조직의 목표 달성이 저해되거나 재무적 손실, 평판 훼손이 발생할 위험을 말합니다.
  • 위험성향(risk appetite)이란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허용할 수 있는 위험의 수준입니다. 한국은행은 조직 구성원이 업무 수행 시 고려해야 할 위험성향을 설정하고, 이의 적정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2. 운영리스크 관리 지배구조

한국은행의 운영리스크 관리는 일선 부서, 리스크 관리 전담부서, 감사실로 구성된 방어모형(3-lines of defense model)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3. 운영리스크 관리 조직

  • 전행적 운영리스크 및 업무연속성 관리 전담조직으로 기획협력국 내 운영리스크팀을 설치하여 부서별 운영리스크 관리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또한, 유관 부서장 등으로 구성된  리스크위원회를 통해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최고 경영진의 리스크 관련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비상대책위원회를 소집하여 전행적 대응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4. 운영리스크 관리 수단

운영리스크 관리 : 한국은행의 운영리스크 관리 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리스크 레지스터 관리
    리스크 레지스터는 리스크 유형별로 식별된 리스크 목록을 의미하며, 각 부서는 주기적으로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발생가능한 리스크를 식별하여 리스크 레지스터를 업데이트합니다.
  • 2. 리스크 통제 자가진단(RCSA)
    리스크 통제 자가진단(RCSA)을 통해 조직 내 리스크 및 통제활동의 현 수준에 대해 부서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통제활동의 유효성을 점검하여 업무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
  • 3. 핵심운영리스크지표(KORI) 모니터링
    핵심운영리스크지표(KORI) 모니터링을 통해 업무중단, 재무적 손실 또는 평판훼손을 야기하였거나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주요 리스크 요인을 정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관련 사건의 발생을 예방하고, 경영진의 의사결정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4. 리스크 보고서
    한국은행의 전반적인 리스크 관리 현황 및 평가를 담고 있는 리스크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작성하여 한국은행이 직면하고 있는 리스크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업무연속성 관리 : 한국은행 핵심업무의 연속성을 저해할 수 있는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효과적인 대응으로 조직의 복원력(resilience)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업무지속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을 수립ㆍ관리하고 있습니다. 업무연속성 관리는 운영리스크 관리와 마찬가지로 3중 방어모형(3-lines of defense model)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업무지속계획 : 위험예방, 재난 발생 시
	영향  최소화 , 비상대응
	업무복구
	업무복원, 모의훈련, 유지ㆍ보수
	
	예방ㆍ대비
대응
리뷰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기획협력국 운영리스크팀
전화번호
02-759-416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