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변천

현용지폐의 변천내용
액면 최초발행 개선
일시 규격 디자인 위조방지장치 보강
50,000원 2009. 6. 23 - - - -
10,000원 1973.06.12 1979.06.15 X O

용지에 3종류 색사 첨가

1983.10.08 O O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규 적용

1994.01.20 X O

부분노출은선, 미세문자, 요판잠상, 광간섭무늬 등 신규 적용

2000.06.19 X O

색변환잉크, 돌출은화 신규 적용

부분노출은선 폭 확대 및 개수 축소, 숨은그림 크기 확대, 광간섭무늬 제거

2007.01.22 O O

홀로그램, 숨은은선(부분노출은선 대체), 숨은막대 신규 적용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볼록인쇄 효과 강화

5,000원 1972.07.01 1977.06.01 X O

용지에 3종류 색사 첨가

1983.06.11 O O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규 적용

2002.06.12 X O

홀로그램 문자가 인쇄된 부분노출은선, 숨은막대 신규 적용

숨은그림과 시각장애인용 점자 크기 확대 및 요판심도 강화

2006.01.02 O O

홀로그램, 숨은은선, 요판잠상, 색변환잉크, 미세문자, 돌출은화 신규 적용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숨은막대, 볼록인쇄 효과 강화

1,000원 1975.08.14 1983.06.11 O O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규 적용

2007.01.22 O O

색변환잉크, 부분노출은선, 요판잠상, 미세문자, 돌출은화 신규 적용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볼록인쇄 효과 강화

만원권

1973. 06. 12에 발행된 1만원권의 앞면<앞면> 1973. 06. 12에 발행된 1만원권의 뒷면<뒷면>

1973. 06. 12에 발행된 1만원권
권종 가 10,000원권
최초
발행
1973. 06. 12
발행
정지
1981. 11. 10
규격 171×81㎜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앞면), 경복궁 근정전(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원판은 일본에서 제작)
  • 규격체계는 가로ㆍ세로확대형 채택
  • 1972년 가5,000원권과 함께 발행할 예정이었으나 도안소재(석굴암, 불국사) 문제로 세종대왕 초상으로 도안을 교체

1979. 06. 15에 발행된 1만원권의 앞면<앞면> 1979. 06. 15에 발행된 1만원권의 뒷면<뒷면>

1979. 06. 15에 발행된 1만원권
권종 나 10,000원권
최초
발행
1979. 06. 15
발행
정지
1993. 05. 12
규격 171×81㎜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앞면), 경회루 무궁화(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원판은 일본에서 제작)
  • 세종대왕 표준영정 채택

1983. 10. 08에 발행된 1만원권의 앞면<앞면> 1983. 10. 08에 발행된 1만원권의 뒷면<뒷면>

1983. 10. 08에 발행된 1만원권
권종 다 10,000원권
최초
발행
1983. 10. 08
발행
정지
2016. 06. 01
규격 161×76㎜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앞면), 경회루(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한국조폐공사에서 원판제작)
  • 화폐체계 정비계획에 의거 발행
    • 규격체계를 가로확대ㆍ세로고정형으로 변경
    •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등의 위조방지장치 신규 적용
    • 용지원료를 부스러기 솜 또는 펄프에서 순면으로 대체하여 지질 제고

1994. 01. 20에 발행된 1만원권의 앞면<앞면> 1994. 01. 20에 발행된 1만원권의 뒷면<뒷면>

1994. 01. 20에 발행된 1만원권
권종 라 10,000원권
최초
발행
1994. 01. 20
발행
정지
2016. 06. 01
규격 161×76㎜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앞면), 경회루(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다10,000원권 원판을 수정ㆍ보완)
  • 컬러복사기 수입자유화에 대응하여 위조방지 장치강화
  • 부분노출은선, 미세문자, 요판잠상, 광간섭무늬 등 보강

2000. 06. 19에 발행된 1만원권의 앞면<앞면> 2000. 06. 19에 발행된 1만원권의 뒷면<뒷면>

2000. 06. 19에 발행된 1만원권
권종 마 10,000원권
최초
발행
2000. 06. 19
발행
정지
2016. 06. 01
규격 161×76㎜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앞면), 경회루(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다10,000원권 원판을 수정ㆍ보완)
  • 컴퓨터 및 스캐너, 컬러복사기 보급확대에 대응하여 위조방지장치 강화
  • 색변환잉크, 돌출은화 신규 적용
  • 부분노출은선 폭 확대 및 개수 축소, 숨은그림크기 확대, 광간섭무늬 제거

2007. 01. 22에 발행된 1만원권의 앞면<앞면> 2007. 01. 22에 발행된 1만원권의 뒷면<뒷면>

2007. 01. 22에 발행된 1만원권
권종 바 10,000원권
최초
발행
2007. 01. 22
규격 148× 68 ㎜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 일월오봉도(이상 앞면)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이상 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 「위폐방지 새 은행권 발행 계획」(2005. 4. 18)에 따라 규격ㆍ도안을 변경하고 첨단 위조방지장치를 대폭 보강한 새 은행권을 발행
  • 홀로그램, 숨은은선(부분노출은선 대체), 숨은막대 신규 적용
  •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볼록인쇄 효과 강화

오천원권

1972. 07. 01 에 발행된 5천원권의 앞면<앞면> 1972. 07. 01 에 발행된 5천원권의 뒷면<뒷면>

1972. 07. 01 에 발행된 5천원권
권종 가 5,000원권
최초
발행
1972. 07. 01
발행
정지
1980. 12. 01
규격 167×77㎜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율곡 초상(앞면), 한국은행 본관(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원판은 영국 토마스 데라루사에서 제작)
  • 규격체계는 가로ㆍ세로확대형 채택

1977. 06. 01 에 발행된 5천원권의 앞면<앞면> 1977. 06. 01 에 발행된 5천원권의 뒷면<뒷면>

1977. 06. 01 에 발행된 5천원권
권종 나 5,000원권
최초
발행
1977. 06. 01
발행
정지
1993. 05. 12
규격 167×77㎜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율곡 초상(앞면), 오죽헌(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원판은 일본에서 제작)
  • 율곡 표준영정 채택

1983. 06. 11 에 발행된 5천원권의 앞면<앞면> 1983. 06. 11 에 발행된 5천원권의 뒷면<뒷면>

1983. 06. 11 에 발행된 5천원권
권종 다 5,000원권
최초
발행
1983. 06. 11
발행
정지
2016. 06. 01
규격 156×76㎜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율곡 초상(앞면), 오죽헌(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원판은 일본에서 제작)
  • 화폐체계 정비계획에 의거 발행
    • 규격체계를 가로확대ㆍ세로고정형으로 변경
    •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등의 위조방지장치 신규 적용
    • 용지원료를 부스러기 솜 또는 펄프에서 순면으로 대체하여 지질 제고

2002. 06. 12에 발행된 5천원권의 앞면<앞면> 2002. 06. 12에 발행된 5천원권의 뒷면<뒷면>

2002. 06. 12에 발행된 5천원권
권종 라 5,000원권
최초
발행
2002. 06. 12
발행
정지
2016. 06. 01
규격 156×76㎜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율곡 초상(앞면), 오죽헌(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다5,000원권 원판을 수정ㆍ보완)
  • 위조방지장치 보강
    • 홀로그램 문자가 인쇄된 부분노출은선, 숨은막대
    • 숨은그림과 시각장애인용 점자 크기 확대 및 요판심도 강화 (시각장애인용 점자, 앞면 및 문자) 액면 숫자

2006. 01. 02에 발행된 5천원권의 앞면<앞면> 2006. 01. 02에 발행된 5천원권의 뒷면<뒷면>

2006. 01. 02에 발행된 5천원권
권종 마 5,000원권
최초
발행
2006. 01. 02
규격 142 × 68 ㎜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율곡 이이 초상, 오죽헌 몽룡실(이상 앞면)
신사임당 초충도(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 「위폐방지 새 은행권 발행 계획」(2005. 4. 18)에 따라 규격ㆍ도안을 변경하고 첨단 위조방지장치를 대폭 보강한 새 은행권을 발행
  • 홀로그램, 숨은은선, 요판잠상, 색변환잉크, 미세문자, 돌출은화 신규 적용
  •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숨은막대, 볼록인쇄 효과 강화

천원권

1975.08.14에 발행된 천원권의 앞면<앞면> 1975.08.14에 발행된 천원권의 뒷면<뒷면>

1975.08.14에 발행된 천원권
권종 가 1,000원권
최초
발행
1975.08.14
발행
정지
1993. 05. 12
규격 163×73㎜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퇴계 초상, 무궁화(앞면), 도산서원(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원판은 일본에서 제작)
  • 규격체계는 가로ㆍ세로확대형 채택
  • 퇴계 표준영정 채택
  • 소득증대와 물가상승에 따른 거래단위 금액의 상승으로 중간권종 은행권도 필요

1983.06.11에 발행된 천원권의 앞면<앞면> 1983.06.11에 발행된 천원권의 뒷면<뒷면>

1983.06.11에 발행된 천원권
권종 나 1,000원권
최초
발행
1983.06.11
발행
정지
2016. 06. 01
규격 151×76㎜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퇴계 초상, 투호(앞면), 도산서원(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한국조폐공사에서 원판 제작)
  • 화폐체계 정비계획에 의거 발행
    • 규격체계를 가로확대ㆍ세로고정형으로 변경
    •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등의 위조방지장치 신규 적용
    • 용지원료를 부스러기 솜 또는 펄프에서 순면으로 대체하여 지질 제고

2007.01.22에 발행된 천원권의 앞면<앞면> 2007.01.22에 발행된 천원권의 뒷면<뒷면>

2007.01.22에 발행된 천원권
권종 다 1,000원권
최초
발행
2007.01.22
규격 136 × 68 ㎜
인쇄
방식
요판
주도안
소재
퇴계 이황 초상, 명륜당(이상 앞면),
계상정거도(뒷면)
비고
  • 한국조폐공사 제조
  • 「위폐방지 새 은행권 발행 계획」(2005. 4. 18)에 따라 규격ㆍ도안을 변경하고 첨단 위조방지장치를 대폭 보강한 새은행권을 발행
  • 색변환잉크, 부분노출은선, 요판잠상, 미세문자, 돌출은화 신규 적용
  •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볼록인쇄 효과 강화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발권국 발권정책팀
전화번호
02-759-4084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