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2005년

기존 화폐와 액면은 동일하나 도안, 규격 등이 다른 새로운 화폐가 발행되는 경우 발행된 순서에 따라 그 분류명칭을 '原', '新', '改', '改甲' 순으로 부르던 것을 1993. 5. 1 이후부터는 1962년 3차 통화조치 이후 발행된 화폐에 대해서 그 분류명칭을 '가', '나', '다', '라' 순으로 부르게 되었음.

1982년부터 2005년까지

1980년대는 현용화폐의 형태 완성 및 고급화가 이루어진 시기다. 화폐간의 표기가 일관성 있게 통일되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식별기능 및 위조방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1980년대 이후는 현용화폐의 형태가 완성되고 고급화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1982년 6월 12일에 액면 500원 은행권을 주화로 대체하고 1983년 1월 15일에는 주화 종류별로 다소 불일치되어 있던 앞·뒷면의 액면표시 및 숫자를 일정한 크기와 배열로 조정하고 앞면에 있던 한국은행 문자를 뒷면 하단에 넣고 뒷면 상단에 제조년도를 표시하는 등 액면간 도안의 구성을 통일하여 100원화, 50원화, 10원화, 5원화 및 1원화를 발행함으로써 현용주화를 완성하였다. 은행권은 1983년 6월 11일에 현용화폐인 나 1,000원권과 함께 다 5,000원권을 발행하고 같은 해 10월 8일에는 다 10,000원권을 발행하였다. 이때 발행된 다 5,000원권과 다 10,000원권은 규격, 색상, 재질 및 도안에 있어서 라 5,000원권 및 라·마 10,000원권과 차이가 거의 없다. 이후에 부분노출은선, 광간섭무늬, 미세문자, 요판잠상, 색변환잉크, 돌출은화 등 위조방지요소를 강화하면서 1994년 1월 20일에 라 10,000원권, 2000년 6월 19일에 마 10,000원권, 2002년 6월 12일에 라 5,000원권을 각각 발행하였다.

1982. 06. 12
한국은행 500원화 발행

오백원貨

1982. 06. 12에 발행된 오백원권의 앞면과 뒷면

1982. 06. 12에 발행된 오백원권
소재 Cu(75), Ni(25)
도안 학 / 액면
지름 26.50㎜
무게 7.70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1983. 01. 15
현용주화(나 100원화, 나 50원화, 다 10원화, 다 5원화, 다 1원화)발행

나 백원貨

1983. 01. 15에 발행된 백원권의 앞면과 뒷면

1983. 01. 15에 발행된 백원권
소재 Cu(75), Ni(25)
도안 이순신 / 액면
지름 24.00㎜
무게 5.42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나 오십원貨

1983. 01. 15에 발행된 오십원권의 앞면과 뒷면

1983. 01. 15에 발행된 오십원권
소재 Cu(70), Zn(18), Ni(12)
도안 벼이삭 / 액면
지름 21.60㎜
무게 4.1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다 십원貨

1983. 01. 15에 발행된 십원권의 앞면과 뒷면

1983. 01. 15에 발행된 십원권
소재 Cu(65), Zn(35)
도안 다보탑 / 액면
지름 22.86㎜
무게 4.0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다 오원貨

1983. 01. 15에 발행된 오원권의 앞면과 뒷면

1983. 01. 15에 발행된 오원권
소재 Cu(65), Zn(35)
도안 거북선 / 액면
지름 20.40㎜
무게 2.95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다 일원貨

1983. 01. 15에 발행된 일원권의 앞면과 뒷면

1983. 01. 15에 발행된 일원권
소재 Al(100)
도안 무궁화 / 액면
지름 17.20㎜
무게 0.729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1983. 06. 11
한국은행 나 1,000원권, 다 5,000원권 발행

나 천원券

1983. 06. 11에 발행된 천원권의 앞면 1983. 06. 11에 발행된 천원권의 뒷면

1983. 06. 11에 발행된 천원권
최초
발행
1983. 06. 11
도안
소재
이황 초상 / 도산서원
규격 15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다 오천원券

1983. 06. 11에 발행된 오천원권의 앞면 1983. 06. 11에 발행된 오천원권의 뒷면

1983. 06. 11에 발행된 오천원권
최초
발행
1983. 06. 11
도안
소재
이이 초상 / 오죽헌
규격 156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1983. 10. 08
한국은행 다 10,000원권 발행

다 만원券

1983. 10. 08에 발행된 만원권의 앞면 1983. 10. 08에 발행된 만원권의 뒷면

1983. 10. 08에 발행된 만원권
최초
발행
1983. 10. 08
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6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1994. 01. 20
위변조방지요소(부분노출은선 도입 등) 보강 라 10,000원권 발행

라 만원券

1994. 01. 20에 발행된 만원권의 앞면 1994. 01. 20에 발행된 만원권의 뒷면

1994. 01. 20에 발행된 만원권
최초
발행
1994. 01. 20
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6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부분노출은선, 광간선무늬, 미세문자, 요판잠상 보강
2000. 06. 19
위변조방지요소 보강 마 10,000원권 발행

마 만원券

2000. 06. 19에 발행된 만원권의 앞면 2000. 06. 19에 발행된 만원권의 뒷면

2000. 06. 19에 발행된 만원권
최초
발행
2000. 06. 19
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6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시변각 잉크, 숨은 그림 확대 및 돌출 은화 삽입, 부분노출은선 개선, 광간섭무늬 제거, 저작권 표시
2002. 06. 12
위변조방지요소 보강 라 5,000원권 발행

라 오천원권

2002. 06. 12에 발행된 오천원권의 앞면 2002. 06. 12에 발행된 오천원권의 뒷면

2002. 06. 12에 발행된 오천원권
최초
발행
2002. 06. 12
도안
소재
이이 초상 / 오죽헌
규격 156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부분노출은선(홀로그램미세문자 삽입), 숨은막대 삽입, 점자크기 확대, 요판잠상 보강, 저작권 표시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발권국 화폐연구팀
전화번호
02-759-455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