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로
BOK 이슈
미디어
유튜브
유튜브
BOK이슈해설ㅣ달러만 보면 안된다? 원화-위안화 동조화의 진실은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먼저 달러가 떠오르시죠?
그런데 요즘은 위안화도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특히 글로벌 교역 환경이 불확실해지면서, 이제는 미중 관계도 함께 살펴봐야 할 때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미중 관계가 환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유튜브
📑BOK금융안정보고서|2025년 6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무역 갈등,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또한 가계 취약차주, 기업, 비은행금융기관의 리스크 확대와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금융불균형 가능성도 잠재적 불안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우리 금융시스템의 안정 상황과 그 이면에 존재하는 잠재리스크 요인을 함께 짚어봅니다.
유튜브
BOK클라이밋 톡ㅣ기후위기, 이제는 한 번에 몰려온다 - 복합재난의 공습 (Climate Risks from Compound Events)
Climate change is no longer a future threat—it’s happening now. From extreme heat and flash floods to wildfires, we’re seeing more intense and frequent events disrupting our lives, economies, and systems.
This interview series explores the real-time risks we face today. By speaking with top experts across science, finance, and policy, we aim to unpack what’s happening and why it matters—so we can all make more informed decisions in a rapidly changing world.
유튜브
BOK이슈해설ㅣ탄력적인 유동성 조절을 위한 공개시장운영제도 개편
한국은행은 ‘공개시장운영’이라는 통화정책 수단을 활용하여
시중에 유동성이 너무 많거나 부족하지 않게 조절함으로써 초단기금리를 기준금리 수준에서 적절히 유지하고, 지급결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융시장 전체의 안정을 도모합니다.
최근에는 유동성조절 필요규모가 줄어들고, 지급준비금 수요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공개시장운영 제도의 개편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 배경과 주요 변화 내용을 알기 쉽게 풀어드립니다.
공개시장운영의 원리부터 정례 RP매입 도입까지,
이 영상을 통해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
유튜브
BOK인사이드ㅣ한(은) 페이지가 될 수 있게(feat. BOK 밴드부)
한국은행엔 직원들이 모여 활동하는 다양한 사내 동호회가 있는데요.
그중 하나, 퇴근 후에도 열정을 불태우며 합주 연습에 힘쓰는 ‘BOK 밴드부’를 소개합니다!
직원들 앞에서 멋지게 공연까지 펼치는 모습,
그 뜨거운 순간들을 영상으로 함께 만나보세요 🎶
유튜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창립 제75주년 기념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창립 제75주년 기념사
유튜브
BOK현지브리핑ㅣ'저전력 모드' 돌입한 유럽 경제, 경기 회복의 신호탄 쏘나?
이번 영상에서는 유럽 주요 국가(독일, 영국)의 최신 경제 동향과 전망을 심층 분석합니다. 특히, 영국이 가계 부채를 효과적으로 감축한 사례를 중심으로 그 시사점을 살펴봅니다.
유로 지역의 완만한 경기 회복세, 독일의 재정 지출 확대 계획, 영국의 성장률 반등과 가계 부채 감소 요인 등을 상세히 다루며, 우리나라 경제 정책에 주는 함의도 함께 짚어봅니다. 이번 영상을 통해 유럽 경제의 흐름과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해 보세요!
유튜브
BOK마켓브리핑 | 📈금융시장동향(2025년 5월)
💬5월 29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전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된 금융시장동향의 주요 내용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
🔭BOK경제전망보고서(Indigo Book)|2025년 5월|
올해 우리 경제 안팎의 불확실성 탓에 경제심리 회복이 예상보다 늦어졌고,
미국의 관세 정책도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면서 연초 1.5%로 봤던 성장률이 0.8%까지 낮아질 전망인데요.
물가의 경우, 식품·서비스 가격이 오르긴 했지만 수요 둔화와 유가 하락 등의 영향이 맞물리면서
2월에 예상했던 1.9%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확인해 보세요! 😉
유튜브
BOK이슈토크ㅣ CIPD로 보는 미국 달러 패권
달러를 조달하는 데에도 '비용'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영상에서는 복잡해 보이지만 우리 금융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CIP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신 보고서
보도자료
2025년 상반기 위조지폐 발견 현황 및 화폐위조범 검거 유공자 포상
□ 2025년 상반기 중 한국은행이 화폐 취급과정에서 발견하였거나 금융기관이 발견해 한국은행에 신고한 위조지폐는 총 48장으로 전년 동기와 동일하며 장기적으로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한편 한국은행은 2025년 7월 10일(목) 화폐위조범을 검거한 ...
2025.07.11
상세보기
경제상황 평가(2025.7월)
▣ 국내경제는 건설투자의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소비가 개선되고 수출도 증가*하면서 성장 부진이 다소 완화 * (BOX) 『반도체 수출 경기사이클cycle, 이번에는 다를까?』 참조 ■ 향후 ...
2025.07.10
상세보기
통화정책방향(2025.7.10)
통화정책방향 □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 수준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국내경제는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당분간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무역협상 ...
2025.07.10
상세보기
2025년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7.09
상세보기
2025년 6월중 금융시장 동향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7.09
상세보기
2025년 1/4분기중 자금순환(잠정)
- 2025년 1/4분기중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결과 발생한 국내부문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18.5조원을 기록 -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7.08
상세보기
[보도자료] 외환시장 거래시간 연장 지난 1년 동향과 추가 개선방안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7.04
상세보기
2025년 5월 국제수지(잠정)
□ 2025년 5월 경상수지는 101.4억달러 흑자를 기록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2025.07.04
상세보기
[보도참고자료] 2025년 6월 「물가상황점검회의」 개최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7.03
상세보기
2025년 6월말 외환보유액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7.03
상세보기
2020년 지역산업연관표 작성 결과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2025.07.02
상세보기
2025년 5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 2025년 5월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63%로 전월대비 0.08%p 하락하였으며, 대출금리는 연 4.17%로 전월대비 0.02%p 하락 ― 2025년 5월말 잔액 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2.23%로 전월말...
2025.06.30
상세보기
[보도자료] 국내발행 외화채무증권에 대한 투자제한 완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6.30
상세보기
[보도참고자료] 2025년 7월중 통화안정증권 발행 계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2025.06.26
상세보기
2024년 지역별·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잠정)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2025.06.26
상세보기
[보도자료] 한국은행, 보다 탄력적인 유동성 조절을 위해 공개시장운영 제도를 개편
□ 한국은행은 단기자금시장에서의 유동성 흡수 필요 규모가 추세적으로 축소되는 등 최근의 공개시장운영 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환매조건부증권(이하 ‘RP’) 매매를 유동성의 흡수와 공급을 병행하는 체계로 전환하는 등 공개시장운영 제도를 개편...
2025.06.26
상세보기
2025년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
□ 2025년 6월 기업심리지수는 제조업이 전월대비 0.3p 하락한 94.4를,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0.7p 하락한 87.4를 기록 □ 2025년 6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에 비해 0.6p상승한 92.8을 기록 ※ 자세한 내용은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nbs...
2025.06.26
상세보기
[보도자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BIS 연차총회 및 ECB 중앙은행 포럼(신트라 포럼) 참석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스위스 바젤에서 개최되는 「제95차 BIS 연차총회」 등에 참석하기 위해 6.26일(목) 출국하여 7.3일(목) 귀국할 예정임 * 자세한 내용은 붙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6.25
상세보기
「금융안정보고서」(2025년 6월)
□ 한국은행은 한국은행법 제96조 제1항에 의거 「금융안정보고서」(2025년 6월)를 작성하였음.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뉴스/자료 > 간행물 > 금융안정보고서 > 금융...
2025.06.25
상세보기
[보도참고자료] ECOS 영문 홈페이지 개편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2025.06.24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