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전문표준(ISO20022) 도입

ISO20022란?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조직인 ISO에서 정의한 금융거래를 위한 전문(메세지) 작성 에 사용되는 표준 형식이다.

도입배경

글로벌 교역 및 금융거래 확대, 해외거주자 증가 등으로 해외송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효율적인 국가 간 지급서비스의 제공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국가 간 지급서비스의 비싼 수수료, 느린 처리속도, 제한된 접근성, 낮은 투명성 등의 문제점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2020년 2월 G20 중앙은행 총재·재무장관 회의에서는 ‘국가 간 지급서비스의 개 선’을 최우선 협력과제로 선정했고, 금융안정위원회(FSB)와 국제결제은행(BIS) 등 관련 국제기구가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주요국 중앙은행 등과 함께 개 선과제를 이행해가는 중이다. ISO 20022 도입은 그 자체로 개선과제 중 하나이 자 동시에 국가 간 지급결제시스템 연계, 자금세탁방지 규제 등 여타 개선과제들 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선결과제이기도 하다. 때문에 주요국들은 현재 거액결제 시스템 등에 ISO 20022 체계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대효과

ISO 20022가 도입되면 통일된 전문양식, 유연하고 확장성 높은 전문체계 등으로 호환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측면에서 향상된 상호운 영성을 기반으로 국가 간 지급서비스 연계, 자국 통화의 국제화, 금융기관 해외 진출 등을 훨씬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지급인프라(또는 기관) 간 상이한 전문체계 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전문 변환과정에의 비효율성, 데이터 손실 등이 상 당 부분 제거될 수 있어 송금인에서 최종 수취인에 이르는 지급 프로세스의 일 관처리(STP, Straight Through Processing)도 가능하게 된다. 자금결제 프로세 스 상의 일관처리는 국제금융거래의 효율성 개선뿐만 아니라 기업의 무역거래 등과 관련하여 무역업무와 금융업무 간 유기적 연계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ISO 20022은 정보의 추가‧삭제 및 구조화가 용이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전문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금인, 수취인에 대한 정 보 등을 보다 다양하고 상세하게 포함시킬 수 있어 자금세탁방지 등 글로벌 규 제 강화 흐름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한국은행은 2022년 거액결제시스템인 한은금융망에 대한 ISO 20022 도입사업에 착수했다. 2023년에 일반자금이체, 수취인지정자금이체, CLS 결제 등 핵심 자금 이체에 대한 전문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BIS CPMI 공통 요구사항을 반영한 전문을 개발하고 있다. 동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2026년 완료를 목표로 한국은 행과 한은금융망 참가기관의 시스템 개편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은행은 RTGS 방식 신속자금이체시스템 구축에도 ISO 20022를 적용할 계획이다.

자료 목록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