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은행권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기념은행권(이천원권)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기념은행권(이천원권) 앞면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기념은행권(이천원권)
발행일 2017년 11월 17일
규격(mm) 140×75
기본색상 회색
재질
디자인 소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2인(남, 여),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컬링, 아이스하키, 봅슬레이, 루지 선수 각 1인, 강원도 산악지역,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엠블럼 및 기본 룩(Look) 일부* / 송하맹호도,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기본 룩(Look) 일부*
위조방지장치 입체형 부분노출은선, 홀로그램, 숨은그림 및 돌출은화, 볼록인쇄, 요판잠상, 시각장애인용 돌출형 점자표시, 가로확대형 기번호, 색변환잉크, 미세문자 등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참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기념은행권 위조방지장치 설명

  • 입체형 부분노출은선(Windowed Security Thread)

    1. 입체형 부분노출은선(Windowed Security Thread)

    평창을 상징하는 한글의 자음 ‘ㅍ’, ‘ㅊ’이 교차하며 움직이도록 형상화

    * 현용 5만원권 보다 폭을 확대(4 → 5㎜)

  • 2. 홀로그램(Hologram)

    대회 슬로건인 ‘하나된 열정’을 구성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혼합하여 눈꽃송이 모양으로 형상화

  • 홀로그램(Hologram)

    3. 숨은그림 및 돌출은화(Watermark and Special Press and Soldering(SPAS))

    숨은그림은 대회 ‘개·폐회식 경기장’(평창 소재)이며, 돌출은화는 숨은그림의 일부를 이용

  • 4. 볼록인쇄(Intaglio Printing)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문자와 숫자 등* 부위는 손으로 만져보면 오톨도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인쇄 적용

    * 뒷면 ‘호랑이’, ‘문자와 숫자’에도 볼록인쇄 적용

  • 요판잠상(Intaglio Latent Image)

    5. 요판잠상(Intaglio Latent Image)

    은행권을 비스듬히 기울이면 보는 각도에 따라 평창을 의미하는 한글 자음 ‘ㅍ’, ‘ㅊ’ 이 교차하여 표현

  • 시각장애인용 돌출형 점자표시(Tactile mark for the Vision-Impaired)

    6. 시각장애인용 돌출형 점자표시(Tactile mark for the Vision-Impaired)

    시각장애인들의 액면 식별을 돕기 위해 앞면 좌·우변 중앙 부위에 3줄 무늬()를 이중으로 표시

  • 가로확대형 기번호(Novel Numbering)

    7. 가로확대형 기번호(Novel Numbering)

    기호 및 번호의 문자와 숫자의 크기가 오른쪽으로 가면서 점차 커지도록 적용

  • 색변환잉크(Color-Shifting Ink)

    8. 색변환잉크(Color-Shifting Ink)

    뒷면 오른쪽 액면숫자(‘2000’)에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숫자의 색상이 ‘황금색’에서 ‘녹색’으로 변화

  • 9. 미세문자(Micro Lettering)

    확대경으로 보아야 확인이 가능한 작은 문자로서 은행권 앞뒷면에 ‘PyeongChang2018’ 등 대회관련 문자를 적용

    미세문자(Micro Lettering) - 블록인쇄부분, 평판인쇄부분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발권국 발권정책팀
전화번호
02-759-403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