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1962년

1953년 긴급통화조치부터 1962년 긴급통화조치 이전까지

1953년 한국은행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경제혼란을 타개하기 위해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했다. 한국은행권만을 법화로 인정하여 화폐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화폐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수행했다.

한국전쟁의 여파로 산업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물가가 급등하는 등 경제가 큰 혼란에 빠짐에 따라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1953년 2월 15일 화폐단위를 圓에서 한자환으로 변경(100圓 → 1한자환) 하는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하였다. 1953년 2월 17일부터 '圓' 표시 한국은행권의 유통을 중지시켰으며 그 동안 한국은행권과 함께 저액면용으로 통용되어 오던 7종류 조선은행권(10圓, 5圓, 1圓, 50錢, 20錢, 10錢 및 5錢),과 일본정부의 소액보조화폐(1錢주화)의 유통도 전면 중지하고 '한자환' 표시 한국은행권만을 유일한 법화로 인정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폐의 완전한 독자성이 확보되었다. 1953년 긴급통화조치에 의해 발행된 화폐는 모두 은행권으로 1000한자환권, 100한자환권, 10한자환권, 5한자환권, 1한자환권 이며 1962년 긴급통화조치까지 도안이나 색깔 등이 바뀐 새로운 은행권이 몇 차례 발행되었다. 한편 전쟁의 시련을 극복하고 물가가 안정되고 산업활동도 정상화됨에 따라 한국은행은 1959년 화폐체계를 정비하고 화폐제조비 절감 및 소액거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100환화, 50환화 및 10환화 등 3종의 주화를 최초로 발행하였다.

1953.02.15
긴급통화조치 단행(02. 17 시행)
1953.02.17
한국은행 1,000한자환券, 100한자환券, 10한자환券, 5한자환券, 1한자환券 발행
긴급통화조치로 화폐단위가 圓에서 한자환으로 바뀌었음에도 이 당시 은행권은 한자환을 '원'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동 은행권이 긴급통화조치의 결정 이전에 다른 용도로 미국연방인쇄국에서 제조된 것이기 때문

한자환

1953.02.17에 발행된 천환권의 앞면1953.02.17에 발행된 천환권의 뒷면

1953.02.17에 발행된 천환권
최초
발행
1953.02.17
도안
소재
거북선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56 × 66㎜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8단위 번호권, 번호전후에 알파벳 표시

한자환

1953.02.17에 발행된 백환권의 앞면1953.02.17에 발행된 백환권의 뒷면

1953.02.17에 발행된 백환권
최초
발행
1953.02.17
도안
소재
거북선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56 × 66㎜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8단위 번호권, 번호전후에 알파벳 표시

한자환

1953.02.17에 발행된 십환권의 앞면1953.02.17에 발행된 십환권의 뒷면

1953.02.17에 발행된 십환권
최초
발행
1953.02.17
도안
소재
거북선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56 × 66㎜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8단위 번호권, 번호전후에 알파벳 표시

한자환

1953.02.17에 발행된 오환권의 앞면1953.02.17에 발행된 오환권의 뒷면

1953.02.17에 발행된 오환권
최초
발행
1953.02.17
도안
소재
당초문양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11 × 54㎜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기호에 괄호 모양 기호에 괄호 모양1 기호에 괄호 모양2

한자환

1953.02.17에 발행된 일환권의 앞면1953.02.17에 발행된 일환권의 뒷면

1953.02.17에 발행된 일환권
최초
발행
1953.02.17
도안
소재
당초문양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11 × 54㎜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기호에 괄호 모양 기호에 괄호 모양1
1953.3.17
한국은행 新 10 한자환券(황색지) 발행
1953년 긴급통화조치시 미국에서 제조 반입하여 발행된 은행권을 국내 제조권으로 대체

新拾한자환券(黃色紙)

1953.03.17에 발행된 십환권의 앞면1953.03.17에 발행된 십환권의 뒷면

1953.03.17에 발행된 십환권
최초
발행
1953.03.17
도안
소재
남대문 / 해금강 총석정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3.12.15
한국은행 新 10 한자환券(백색지) 발행

新拾한자환券(白色紙)

1953.12.15에 발행된 십환권의 앞면1953.12.15에 발행된 십환권의 뒷면

1953.12.15에 발행된 십환권
최초
발행
1953.12.15
도안
소재
남대문 / 해금강 총석정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3.12.18
한국은행 新 100 한자환券(황색지) 발행

新百한자환券(黃色紙)

1953.12.18에 발행된 백환권의 앞면1953.12.18에 발행된 백환권의 뒷면

1953.12.18에 발행된 십환권
최초
발행
1953.12.18
도안
소재
이승만 초상 / 독립문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4. 02. 01
한국은행 新 100 한자환券(백색지) 발행

新百한자환券(白色紙)

1954. 02. 01에 발행된 백환권의 앞면1954. 02. 01에 발행된 백환권의 뒷면

1954. 02. 01에 발행된 백환권
최초
발행
1954. 02. 01
도안
소재
이승만 초상 / 독립문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6. 03. 26
한국은행 500 한자환券 발행

五百한자환

1956. 03. 26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앞면1956. 03. 26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뒷면

1956. 03. 26에 발행된 오백환권
최초
발행
1956. 03. 26
도안
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5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新千한자환

1957. 03. 26에 발행된 천환권의 앞면1957. 03. 26에 발행된 천환권의 뒷면

1957. 03. 26에 발행된 천환권
최초
발행
1957. 03. 26
도안
소재
이승만 초상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6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6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이승만 초상의 한복을 양복으로 변경

改百한자환

1957. 03. 26에 발행된 백환권의 앞면1957. 03. 26에 발행된 백환권의 뒷면

1957. 03. 26에 발행된 백환권
최초
발행
1957. 03. 26
도안
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8. 08. 15
한국은행 新 500한자환券 및 50한자환券 발행

五百한자환

1958. 08. 15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앞면1958. 08. 15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뒷면

1958. 08. 15에 발행된 오백환권
최초
발행
1958. 08. 15
도안
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5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6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五拾한자환

1958. 08. 15에 발행된 오십환권의 앞면1958. 08. 15에 발행된 오십환권의 뒷면

1958. 08. 15에 발행된 오십환권
최초
발행
1958. 08. 15
도안
소재
독립문 / 이순신장군 동상(거북선)
규격 149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9. 10. 20
한국은행 50한자환貨 및 10한자환貨 鑄貨 발행

오십환貨

1959. 10. 20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앞면과 뒷면

1959. 10. 20에 발행된 오십환권
소재 Cu(70), Zn(18), Ni(12)
도안 거북선 / 액면
지름 22.86㎜
무게 3.69g
제조처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창
유통
정지
1975. 03. 22
발행중지 1967.2.3

십환貨

1959. 10. 20에 발행된 십환권의 앞면과 뒷면

1959. 10. 20에 발행된 십환권
소재 Cu(95), Zn(5)
도안 무궁화 / 액면
지름 19.10㎜
무게 2.46g
제조처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창
유통
정지
1975. 03. 22
발행중지 1968.4.16
1959. 10. 30
한국은행 100한자환貨 鑄貨 발행

백환貨

1959. 10. 30에 발행된 백환권의 앞면과 뒷면

1959. 10. 30에 발행된 백환권
소재 Cu(75), Ni(25)
도안 이승만 / 액면
지름 26.00㎜
무게 6.74g
제조처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창
유통
정지
1962. 06. 10
1960. 08. 15
한국은행 改 1,000한자환券 발행
종전 新 1,000한자환券 도안중 이승만 대통령 초상을 세종대왕 초상으로 변경

改 천환券

1960. 08. 15에 발행된 천환권의 앞면1960. 08. 15에 발행된 천환권의 뒷면

1960. 08. 15에 발행된 천환권
최초
발행
1960. 08. 15
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 / 성화
규격 165 × 73mm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8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초상을 이승만에서 세종대왕으로 변경
1961. 04. 19
한국은행 改 500한자환券 발행
종전 新 500한자환券 도안중 이승만 대통령 초상을 세종대왕 초상으로 변경

改 오백환券

1961. 04. 19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앞면1961. 04. 19에 발행된 오백환권의 뒷면

1961. 04. 19에 발행된 오백환권
최초
발행
1961. 04. 19
도안
소재
세종대왕 초상 / 한국은행 본관
규격 15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8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초상을 이승만에서 세종대왕으로 변경
1962. 05. 16
한국은행 改甲 100한자환券 발행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추진을 위한 국민의 저축심 고취를 위하여 저축통장을 들고 있는 모자상(母子像)을 도안으로 채택

改甲 백환券

1962. 05. 16 에 발행된 백환권의 앞면1962. 05. 16 에 발행된 백환권의 뒷면

1962. 05. 16 에 발행된 백환권
최초
발행
1962. 05. 16
도안
소재
모자상 / 독립문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유통
정지
1962.06.10
비고 무번호권, 기호의 괄호모양이 - -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발권국 화폐연구팀
전화번호
02-759-455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