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보고서(2022년 12월)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22.12.26
조회수
23233
키워드
지역경제 동향 요약 경기
담당부서
지역경제조사팀(02-759-4159)

「지역경제보고서」는 한국은행 15개 지역본부가 실시한 업체 모니터링 결과 및 입수가능한 통계 등을 바탕으로 파악한 전국과 지역의 최근 경제상황을 담고 있는 보고서(발간주기: 분기)입니다.


[ 최근 지역경제 동향 요약 ]   

   

[경기 개황]

모니터링 결과, 20224/4분기 중 지역경제는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제조업 생산이 부진하고 서비스업 생산도 회복세가 주춤하면서 전분기에 비해 경기가 소폭 악화되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동남권, 충청권 및 강원권이 소폭 악화되었고 나머지 권역은 보합 수준을 보였다.

향후 지역경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모두 4/4분기 수준을 유지하면서 약한 성장흐름을 보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국 통화긴축 완화, 국내외 금융불안 심화 등으로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생산]

제조업 생산 감소

4/4분기 중 제조업 생산은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 부진 등으로 3/4분기에 비해 감소하였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충청권 및 호남권이 감소하였고 동남권과 대경권, 강원권은 소폭 감소하였다. 반면 제주권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향후 제조업 생산은 주요국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권역에서 4/4분기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서비스업 생산 보합

4/4분기 중 서비스업 생산은 일상회복 지속에도 불구하고 회복모멘텀이 약화되면서 3/4분기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권역별로는 대경권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동남권과 강원권이 소폭 감소하였고 나머지 권역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였다.

향후 서비스업 생산은 4/4분기 수준에 머물면서 회복흐름이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권역별로는 동남권, 대경권 및 제주권이 소폭 감소하고 나머지 권역은 보합 수준을 보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요]

민간소비 보합

4/4분기 중 민간소비는 서비스 소비의 펜트업 모멘텀이 다소 약화되면서 3/4분기 수준을 유지하였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동남권, 충청권 및 대경권이 보합 수준을 보인 가운데 호남권과 제주권은 소폭 증가, 강원권은 소폭 감소하였다.

향후 민간소비는 대면서비스 증가세가 둔화되고 실질구매력 감소, 금리상승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완만한 회복흐름을 나타낼 전망이다. 권역별로는 동남권, 호남권, 강원권 및 제주권이 소폭 감소하고 수도권, 충청권 및 대경권이 보합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비투자 보합

4/4분기 중 설비투자는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일부 업종에서 감소하였으나 친환경·신사업 관련 투자가 지속되면서 대부분의 권역에서 3/4분기 수준을 유지하였다.

향후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확대, 자본조달비용 상승 등으로 위축될 전망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감소하고 충청권과 강원권, 제주권이 소폭 감소하는 반면 동남권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설투자 보합

4/4분기 중 건설투자는 민간부문에서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감소하였으나 공공부문의 SOC 예산집행이 증가하면서 대부분의 권역에서 3/4분기 수준을 유지하였다.

향후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둔화, 정부 SOC예산 축소 등으로 대부분의 권역에서 부진할 전망이다.


수출 감소

4/4분기 중 수출(일평균)은 자동차, 휴대폰 및 부품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글로벌 수요 둔화 등의 영향으로 3/4분기에 비해 감소하였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충청권 및 호남권이 감소, 동남권과 강원권이 소폭 감소한 반면 대경권과 제주권은 소폭 증가하였다.

향후 수출(일평균)은 주요국 경기 부진 등으로 대부분의 권역에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용 : 취업자수 증가폭 축소]

10~11월 중 취업자수(월평균, 전년동기대비)65.2만명 증가하였으나, 증가규모는 3/4분기(78.0만명)에 비해 축소되었다. 권역별로는 동남권, 충청권, 호남권 및 제주권에서는 증가폭이 소폭 확대되었으나 수도권과 대경권, 강원권에서 증가폭이 축소되었다.



[소비자물가 및 주택가격]

소비자물가 오름폭 축소

10~11월 중 소비자물가(월평균, 전년동기대비)는 전기·가스·수도 가격의 상승폭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상승폭 축소로 석유류 가격의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모든 권역에서 오름폭이 축소되었다.


주택매매가격 하락

10~11월 중 주택매매가격(월평균, 전분기말월대비)은 대출금리 상승, 주택가격 조정 가능성 등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모든 권역에서 하락하였다.



[ 이슈 모니터링: 환율상승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   



Ⅰ. 권역별 경제 동향  


    1. 수도권

    2. 동남권

    3. 충청권

    4. 호남권

    5. 대경권

    6. 강원권

    7. 제주권

  


Ⅱ. 현장리포트  



. 지역경제 연구  

  

      1. 부산지역 경기변동의 요인별 특성과 지역 경기순환에 미치는 영향

      2. 대구경북 수입공급망 취약성 점검

      3. 최근 제주지역의 고용회복 특징 및 시사점

    

    

. 지표로 보는 지역경제  


[ 부 록 ]  


     한국은행 지역본부의 조사연구자료 목록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지역경제부 지역경제조사팀
전화번호
02-759-4145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