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보고서(2024년 6월)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24.06.24
조회수
4262
키워드
지역경제보고서 경제 동향 제조업 서비스업
담당부서
지역경제조사팀(02-759-4153)

「지역경제보고서」는 한국은행 15개 지역본부가 실시한 업체 모니터링 결과 및 입수가능한 통계 등을 바탕으로 파악한 전국과 지역의 최근 경제상황을 담고 있는 보고서(발간주기: 분기)입니다.


[ 최근 지역경제 동향 요약 ]    

   

[경기 개황]

20242/4분기 중 지역경제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였다. 제조업 생산은 석유정제, 철강이 감소하였으나 반도체, 자동차 및 부품, 디스플레이가 증가하면서 소폭 증가하였다. 서비스업은 운수업이 증가하였으나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은 감소하면서 종합적으로는 보합세를 나타내었다. 권역별로는 충청권, 호남권, 강원권, 제주권이 소폭 개선되었으나 수도권, 동남권, 대경권은 보합세를 보였다.

향후 지역경제는 2/4분기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제조업 생산은 철강이 감소세를 이어가고 자동차 및 부품이 보합세를 보이겠으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증가하면서 소폭 증가하겠으며, 서비스업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의 증가 전환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업이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보합 수준에 머물 전망이다.


[생산]

제조업 생산 소폭 증가

2/4분기 중 제조업 생산은 글로벌 AI 서비스 확산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SUV 및 친환경차 생산 호조의 영향으로 지난 분기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산업별로는 반도체와 자동차 및 부품, 디스플레이가 증가세를 보였으나 철강은 감소하였으며 석유화학은 보합 수준을 나타내었다. 권역별로는 동남권이 증가하였고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강원권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제주권은 보합세를 나타내었다.

모니터링 결과 향후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 및 부품이 보합세로 전환되겠으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동남권을 제외한 여타 권역에서는 소폭 증가하고 수도권, 동남권에서는 보합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었다.


서비스업 생산 보합

2/4분기 중 서비스업 생산은 화물 물동량이 증가하였으나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전분기 수준을 지속하였다. 산업별로는 운수업이 증가하였으나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은 감소하였다. 권역별로는 호남권, 강원권, 제주권이 소폭 증가한 반면 동남권은 소폭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권역은 보합세를 나타내었다.

모니터링 결과 향후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이 증가 전환하겠으나 부동산업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종합적으로는 전분기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었다. 권역별로는 강원권이 증가하고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제주권이 소폭 증가하는 반면, 동남권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수요]

민간소비 보합

2/4분기 중 민간소비는 재화 소비가 감소하고 서비스 소비는 전분기 수준을 나타내면서 종합적으로는 보합 수준을 유지하였다. 권역별로는 호남권과 제주권이 소폭 증가한 반면 동남권은 소폭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권역은 전분기 수준을 나타내었다.

향후 민간소비는 고금리 영향이 지속되고 있으나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가계 실질소득 개선의 영향으로 보합 수준을 보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권역별로는 강원권이 증가하고 수도권, 충청권, 제주권이 소폭 증가하는 반면 동남권은 소폭 감소하겠으며, 나머지 권역은 보합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비투자 소폭 보합

2/4분기 중 설비투자는 반도체가 감소하고 자동차가 증가하여 종합적으로는 보합세를 나타내었다. 권역별로는 강원권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수도권은 소폭 감소하였으며 여타 권역은 보합 수준을 나타내었다.

향후 설비투자는 자동차가 증가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반도체도 증가 전환하면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동남권, 충청권, 호남권, 강원권이 소폭 증가하고, 대경권과 제주권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건설투자 보합

2/4분기 중 건설투자는 착공면적 및 SOC 예산 집행규모가 지역별로 엇갈리면서 종합적으로는 보합세를 나타내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충청권과 호남권은 소폭 감소하였으며, 여타 권역은 보합 수준을 나타내었다.

향후 건설투자는 고금리 및 미분양주택 누증의 영향으로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강원권이 감소하고 호남권이 소폭 감소하겠으며, 나머지 권역은 보합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었다.


수출 소폭 증가

2/4분기 중 수출은 조선, 철강이 감소하였으나 반도체, 자동차의 증가에 힘입어 소폭 증가하였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동남권이 증가하고 충청권, 대경권이 소폭 증가한 반면, 제주권이 감소하고 호남권, 강원권은 소폭 감소하였다.

향후 수출은 반도체 수출이 증가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디스플레이 수출도 개선되면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권역별로는 호남권과 강원권이 증가하는 가운데 여타 권역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용 : 취업자수 증가폭 축소]

4~5월 중 취업자수(월평균, 전년동기대비)17.1만명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20241/4분기(29.4만명)에 비해 축소되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호남권 및 제주권의 증가폭이 축소되었고, 동남권은 감소 전환하였으며, 대경권의 감소폭은 확대되었다. 반면, 충청권의 증가폭은 확대되었고, 강원권은 증가 전환하였다.


[소비자물가 및 주택가격]

소비자물가 오름폭 축소

4~5월 중 소비자물가(월평균, 전년동기대비)는 국제유가 반등으로 석유류 가격이 상승 전환하였으나,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다소 완화되고 서비스 물가도 개인서비스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되며 오름폭이 축소되었다.


주택매매가격 하락폭 축소

4~5월 중 주택매매가격(월평균, 전분기말월대비)은 동남권, 충청권 및 대경권의 하락폭이 축소되었으며, 호남권은 상승 전환하였고 강원권의 상승폭은 확대되었다. 반면, 제주권의 하락폭은 확대되었으며 수도권은 보합세를 보였다.



[ 이슈 분석: 대중국 수입 증가(충격)가 지역 생산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  

 


Ⅰ. 권역별 경제 동향  


    1. 수도권

    2. 동남권

    3. 충청권

    4. 호남권

    5. 대경권

    6. 강원권

    7. 제주권

  


Ⅱ. 현장리포트  



. 지역경제 연구  

  

      1. 강원지역 고용의 질 평가 및 대응방안

      2. 부산지역 소비유출입의 특징과 동남권 거점도시로서의 정책적 시사점

      3. 제주지역 물가 흐름의 다섯 가지 특징: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 지표로 보는 지역경제  


[ 부 록 ]  


     한국은행 지역본부의 조사연구자료 목록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지역경제부 지역경제조사팀
전화번호
02-759-4145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