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16-13호] Testing the Labor Market Dualism in Korea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16.10.09
조회수
10050
키워드
우리나라 존재 이중구조 여부 노동시장
등록자
정성엽, 정선영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4291)

 

제목: Testing the Labor Market Dualism in Korea

저자: 정성엽(조사국 산업고용팀, 전 거시경제연구실), 정선영(한국은행)

 

 

<요약>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 이중구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두 가지 정의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복수의 임금함수 공존 여부를 Heckman and Hotz (1986)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2개의 임금함수의 존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udson (2007)이 제안한 제도적 보상수준의 횡단면 분석에서도 보상수준의 양극단에 상당수 근로자가 분포하여 분기화 특성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istence of the dual labor market in Korea is tested under the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the labor market dualism. First, the estimation results from widely used tools such as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support the existence of two wage equations, advocating the presence of labor market dualism in Korea. Second, the labor market dualism index suggested by Hudson (2007) supports that there is some degree of bifurcation between the good job conditions and bad job conditions.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경제연구원 연구조정실
전화번호
02-759-5490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