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24-13호]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24.06.10
조회수
7190
키워드
사회적 능력 노동시장 업무 강도 수학적 자동화 BOK 이슈노트
등록자
한지우, 장수정, 오삼일
담당부서
고용분석팀(02-759-4613, 4187, 4232)

1. AI 등 자동화 기술의 발전으로 직무별 노동수요에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면서 어떤 능력에 대한 수요가 높고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최근 문헌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국내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업무 및 능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한 다음 노동투입과 임금 측면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졌는지를 점검하였다.


2. 먼저, 노동투입 측면에서 사회적 기술 집중 일자리social skill-intensive occupations 비중이 지난 14년 간(2008~22년중) 7%p 증가(49%→56%)하였다. 반면 수학적(인지적) 기술 집중 일자리 math skill-intensive occupations 비중은 이보다 작은 5%p 증가(50%→55%)하였으며, Low Social-Low Math 일자리는 8%p 감소(43%→36%)하였다. 이는 노동시장 전반에서 쓰이는 기술의 수준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3. 임금 측면에서도 최근 들어 사회적 능력에 대한 보상이 더욱 커지는 추세다. 개인의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아질 때 2007~2015년 중에는 임금이 4.4% 높았으나 2016~2020년 중에는 5.9%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인지적 능력에 대한 보상은 최근 들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적 능력이 중요해지는 현상은 미국에서도 관찰되는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규칙화하기 어려운 암묵적인 지식tacit knowledge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자동화로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자동화 기술이 대체하기 어려운 팀워크 능력, 의사소통 능력 같은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향후 기술발전에 필수적인 STEM 전공자(인지적 기술 보유자)에 대한 노동수요는 견고할 전망이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커뮤니케이션국 디지털미디어팀
전화번호
02-759-539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