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24-16호] 컴퓨터 관련 여가(recreational computing)와 노동공급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24.06.28
조회수
1618
키워드
BOK 이슈노트 노동공급 여가 청년 고령화
등록자
조강철, 이하민
담당부서
고용분석팀(02-759-4128, 4154)

1. IT 기술의 발전은 기업의 노동수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IT 기술 확산은 개인의 여가활동 변화를 통해 노동공급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우리나라 국민들의 여가활동 변화를 보면, 지난 20년간 (1999~2019년) 수면, 식사 등의 필수여가와 컴퓨터 관련 여가(recreational computing)*를 중심으로 여가시간이 늘어났다. 필수여가 시간이 증가한 것은 제도 변화(주 5일 근무제,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일·여가에 대한 선호 변화 등으로 근로시간이 줄어든 상황에서 큰 노력 없이 늘리기 용이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 증가는 IT 기기 성능이 빠르게 향상되고 관련 콘텐츠도 급증하였던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은 청년층에서 증가폭이 컸는데, 이는 게임시간(남성)과 인터넷 정보 검색시간(여성)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 문자·메일 교제, 사회관계망을 통한 교제, 인터넷 정보검색, 기타 미디어 관련 여가활동, 게임 (온라인/PC 게임, 모바일 게임)


3. 모형 추정 결과, IT 기술 발전은 컴퓨터·휴대폰 성능 향상 등을 통해 더욱 긴 시간을 컴퓨터 관련 여가활동에 사용하게 함으로써 노동공급을 감소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던 청년층의 경우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남성 및 여성의 노동공급이 각각 10.7% 및 6.3% 감소하였는데 이는 같은 기간 중 남성 및 여성 청년층 근로시간 감소분의 68.7% 및 99.2%를 설명한다.


4. 향후에도 IT 기술 혁신은 청년층의 노동공급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청년층이 나이가 들어서도 비슷한 여가 사용 행태를 유지한다면 IT 기술 발전이 중장년층의 노동 공급에도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여가시간의 증가는 근로자의 건강상태 개선, 효율적 업무문화 정착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 IT 기술 발전으로 인한 노동공급 감소 영향을 일부 상쇄하는 효과도 있다.


5. 앞으로 우리 경제가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노동공급 감소가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감안하면, 노동생산성을 꾸준히 높여가는 것이 과거에 비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커뮤니케이션국 디지털미디어팀
전화번호
02-759-539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