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보고서(2023년 6월)

구분
금융·은행
등록일
2023.06.21
조회수
100086
키워드
금융안정
담당부서
안정분석팀(02-750-6843)
첨부파일

□ 한국은행법 제96조 제1항에 의거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2023년 6월)를 작성하였음.

    ※ 자세한 내용은 붙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 관 ]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금년 상반기중 글로벌 은행 불안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였다. 금융시장은 주요국 통화긴축 속도조절 기대 등으로 금리가 하락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등 안정세를 보였고, 금융기관의 양호한 손실흡수력을 바탕으로 금융중개기능도 원활하게 작동하였다. 다만 무역수지 적자 등 성장세가 둔화되고 가계 및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저하되고 있다. 단기적인 금융시스템 불안 상황을 보여주는 금융불안지수(FSI, Financial Stress Index)는 지난해 10월 레고랜드 사태 등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위기단계까지 상승(23.4)하였으나 금년 2월 주의단계로 하락한 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금융시스템 내 잠재 취약성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해 하반기까지 기준금리 인상, 경제주체의 위험선호 약화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 주식,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하락하는 등 그간 누증된 금융불균형이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금년 들어 국내외 통화정책 긴축기조 완화 기대 등에 영향을 받아 주식가격이 상승하고 부동산가격 하락폭이 축소되는 가운데 4월 이후 가계대출이 다시 늘고 있어 금융불균형 누증의 축소가 제약되는 모습이다. 이를 반영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전반적인 금융취약성을 보여주는 금융취약성지수(FVI, Financial Vulnerability Index)가 금년 들어 소폭 상승하였다.


※ 이하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 참조


[ 금융안정 상황 ]   


 Ⅰ. 신용시장


    1. 신용 레버리지
    2. 가계신용
    3. 기업신용

     참고 1.  최근 가계대출 연체율 상황 점검   
     참고 2.  자영업자 부채의 취약요인 및 연체가능성 점검   
  Ⅱ. 자산시장
 
     1. 채권시장
     2. 주식시장
     3. 부동산시장
  Ⅲ. 금융기관
 
     1. 은행
     2. 비은행금융기관
     3. 상호연계성


     참고 3.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영 현황 평가 및 시사점   

     참고 4.  신 회계기준 도입이 보험회사 재무현황에 미치는 영향 및 평가   


  Ⅳ. 자본유출입


     참고 5.  최근의 글로벌 은행 불안이 달러화 자금 흐름에 미친 영향  

 

[ 복원력 ]   

   
  Ⅰ. 금융기관

     1. 은행
     2. 비은행금융기관


     참고 6.  바젤III 규제체계 하의 주요국 완충자본제도 운용사례 및 시사점   
     참고 7.  국내 금융기관의 자본성증권 발행 현황 및 잠재리스크 점검   
  
  Ⅱ. 대외지급능력

  Ⅲ. 금융시장인프라



[ 종합평가 ]   

 

     참고 8. SVB·CS 사태의 주요 내용과 정책당국 대응 사례 및 시사점  
     참고 9. 수출산업 내재 탄소배출량 현황 및 기업 취약요인  
 

[ 주요 현안 분석]   


  Ⅰ. 주택시장 관련 주요 금융안정 리스크 점검   
  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잠재리스크 점검 
  Ⅲ. 기업 부문 잠재 신용리스크 점검 및 국내은행 스트레스 테스트 
   

[ 부 록 ]   

 
   부록 1. 그림 및 통계표
   부록 2. 부문별 담당 부서 및 집필자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금융안정국 안정분석팀
전화번호
02-750-6837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