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월별 거시-금융 모형 추정

등록일
2009.07.01
조회수
4076
키워드
거시금융모형 이자율기간구조 인플레이션목표 통화정책 한국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07)

제목: 한국의 월별 거시-금융 모형 추정
저자: 조성훈

 

<요 약>

 

 본 연구는 새케인즈 이론과 No-arbitrage 조건하에서의 이자율 기간구조를 접목
시켜 월별 거시-금융(macro-finance) 모형을 도출하고 2001년 이후 한국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적인 것은 모형을 월별 자료에
맞게 구성하고 이자율 기간구조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추정하였다는 것이
다. 또한 실제 이자율 기간구조와 모형에 의해 추정된 이자율 기간구조의 차이를
금융시장의 마찰적 요인과 해외 변수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첫째,
모형이 기대가설 (Expectations Hypothesis)을 가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
율 기간구조를 매우 잘 설명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자율 기간구조의 평균적인 움
직임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장기적 예측치, 또는 시장이 인식하는 인플레이션 목표
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이다. 셋째, 장단기 이자율 스프레드는 주로 인플레이션 목
표의 변화와 통화정책 충격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이다. 넷째, 실제 이자율 기간구
조와 모형에 의해 도출된 이자율 기간구조의 차이는 채권시장의 개인의 순매수,
그리고 환율 swap rate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역할은 매우 제한
적이라는 것이다. 한편 한국의 통화정책은 외환위기 이후 인플레이션 경기 안정화
에 기여해 온 것으로 판단되지만 안정화의 정도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