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의 은행자본경로와 위험추구경로에 대한 실증분석

구분
통화 경제일반
등록일
2021.09.30
조회수
7183
키워드
통화정책 국내은행 은행자본경로 위험추구경로 대출
등록자
이상진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90)
첨부파일

저자: 이상진(금융감독원)

<요약>

본 연구는 통화정책 전달경로 중 은행자본경로와 위험추구경로가 국내은행에도 작동하 는지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확장적 통화정책이 은행의 예대금리차,  BIS비율, 위험가중자산비율 및 대출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존 연구에서 통 화정책 영향분석에 많이 사용된 Uhlig  (2005)의 부호제약 SVAR(Structural  VAR) 모형을 토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국내외 기존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국내은행에서도 은행자 본경로 및 위험추구경로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장적 통화충격에 대해 국내은행 의 예대금리차는 확대되었으며, 자기자본비율은 개선되었고, 이후 총대출이 증가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이는 은행자본경로가 작동함을 의미한다. 또한, 실질콜금리에 대한 확장적 통화충격에 대해 위험가중자산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위험추구경로가 작동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확장적 통화정책 지속 시 은행자본경로 작동으로 단기 적으로 은행 건전성과 수익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있으나, 위험추구경로 작동으로 중장기 적으로 은행의 위험추구(risk-taking) 행위가 심화되어 은행의 실질적 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확장적 통화정책 지속 시 편중리스크 발생 및 시스템리스크 증가 등에 대한 선제적인 모니터링 및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