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8] 소비자물가지수의 상향편의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09.08.31
조회수
5733
키워드
소비자물가지수 상향편의 측정오차 가중치 품질향상
담당부서
조사총괄팀(물가분석팀 이은석과장, 이문희 조사역(02-759-4213,4414))
   대표적인 인플레이션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는 작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
로 인해 그 수준 및 상승률이 상향편의를 가지게 된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상향편의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우선 지수를 구성하는 품목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가계가 소비하는 재화 및 서비
스의 상대가격이 변하면 소비지출 구성도 변하게 되는데 소비자물가지수는 기준년
도에 고정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격이 상승한(하락한) 품목의 비중
이 실제 소비지출 비중보다 크게(작게) 반영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또한 소비자물가
지수는 조사방식의 제약으로 인해 대상 품목의 순수한 가격변동뿐 아니라 품질향상
으로 인한 가격상승분까지 반영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는 할인
점을 통한 소비 증가,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는 신상품 등은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 같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상향편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편의의 발생 원인별로
측정하는 방법과 소비자물가지수가 생계비 변동을 측정한다는 관점에서 엥겔곡선을
바탕으로 계량경제적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엥겔곡선을 이
용한 추정은 품질변화편의 등 일부 상향편의를 포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본고에
서는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의 상향편의를 발생 원인별로
측정해 보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상향편의 발생원인
Ⅲ. 상향편의 측정방법
     1. 기초자료 접근법
     2. 계량분석 접근법
Ⅳ. 우리나라 상향편의 측정
Ⅴ. 상향편의의 영향
     1. 통화정책
     2. 경제주체의 기대형성 및 의사결정
Ⅵ. 맺음말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조사국 조사총괄팀
전화번호
02-759-4254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