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의 액면체계란 무엇인가

등록일
2021.02.19
조회수
5791
키워드
은행권 액면체계 최고액면 화폐
담당부서
화폐연구팀(02-560-1166)
첨부파일
화폐의 액면체계와 최고액면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화폐의 액면체계는 국민들의 화폐사용 습관거래의 편의여타 지급결제수단과의 관계 등이 감안되어 결정된다전 세계적으로 화폐 액면의 기본수 체계로 [1, 5] 체계, [1, 2, 5] 체계또는 이들을 혼합한 체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1000원권, 5000원권, 10000원권, 50000원권 등의 액면을 갖춘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권 액면숫자의 첫 자리에 ‘1’과 ‘5’가 반복되므로 [1, 5] 체계이며 1, 2, 5, 10, 20, 50, 100달러 등의 액면을 갖춘 미국의 경우 은행권 액면숫자의 첫 자리에 ‘1’, ’2‘, ’5‘가 반복되므로 [1, 2, 5] 체계이다.

 

   1950년 이후 한국은행이 발행한 우리나라 은행권은 예외없이 액면이 ‘1’ 또는 ‘5’로 시작한다그러나 우리나라를 제외한 36개 OECD 회원국은 모두가 액면이 1, 5 이외에 ‘2’로 시작하는 은행권도 채택하고 있다우리나라와 같이 1단위와 5단위 액면 은행권만을 사용하여 오던 일본도 2000년에 2000엔권을 도입하면서 우리나라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2단위 액면의 은행권을 사용하지 않는 나라가 되었다.

 

 external_image

 

   OECD 회원국 기준으로 유통되고 있는 은행권의 액면 종류를 살펴보면 미국이 7개 권종을스위스터키유럽연합(17개국), 멕시코폴란드 등 25개국이 6개 권종을캐나다호주뉴질랜드덴마크노르웨이아이슬란드칠레 등 7개국이 5개 권종을 사용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은행권 액면은 4종류로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적은 편인데, 4개 권종을 사용하는 국가는 일본영국이스라엘이 있다.

 

   우리나라도 1970년대 초반 10000원권, 5000원권 및 1000원권을 새로 도입할 때에는 은행권의 액면종류가 5(500원권 및 100원권 포함)였다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제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구매력이 크게 떨어진 500원권과 100원권이 주화로 전환되었다.


 external_image


  참고로 OECD 회원국에서 가장 액면이 높은 은행권은 콜롬비아의 10만 페소 은행권이며가장 낮은 것은 영국의 50파운드 은행권이다영국 최고액권 액면 숫자는 콜롬비아 최고액권 액면 숫자의 1/2000 수준이나영국 최고액권 달러화 환산가치가 콜롬비아의 최고액권보다 2.3배 정도 높다.(2020년 말 기준

  

(화폐연구팀)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발권국 발권기획팀
전화번호
02-759-455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