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경제 현황과 성장잠재력 및 리스크 평가

구분
세계경제
등록일
2023.02.05
조회수
4018
키워드
인도경제 성장잠재력 리스크 경제개혁 모디총리
담당부서
국제종합팀(02-759-5267)

국제경제리뷰: 인도경제 현황과 성장잠재력 및 리스크 평가


◆ (검토 배경) 인도는 1991년 경제개혁 이후 성장을 지속하며 경제규모 6위 국가로 부상하는 가운데 최근 중국을 대체할 생산기지로서 수혜 가능성*이 부각

  ㅇ인구구조 변화,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인도경제는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겠으나 환경오염, 정부규제 등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 인도의 최근 경제상황 및 향후 성장잠재력과 리스크요인을 평가함으로써 우리경제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봄 


◆(인도경제 상황) 모디총리 집권(2014년) 초반에는 성장률이 높았으나 모멘텀이 지속되지 못하였으며, 코로나 이후 적극적 재정정책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

  ㅇ 취약한 제조업 기반, 화폐개혁 부작용과 힌두중심 정책으로 인한 갈등 등으로 2017년 이후 성장률이 하락하였으며 높은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도 성장 제약요인으로 작용 

  ㅇ 코로나 이후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시현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경상수지 적자폭이 확대되고 국가부채도 증가 


◆ (서방, 러·중과 선택적 협력) 반중국 정서에 따라 서방과는 안보연대를 강화하는 한편, 경제적 측면에서는 중국주도 다자기구에 적극 참여하는 가운데 러시아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

 ㅇ 중국과의 군사대치·국경출동(2017, 2020년) 이후 미국과 군사·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경제적 측면에서는 중국 주도 다자기구에 적극 참여  

 ㅇ 러시아는 인도-파키스탄 전쟁, 카슈미르 분쟁 등에 대해 인도를 지지해온 우방국가로 군사, 과학기술 분야 등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인도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미온적 태도 유지 


◆ (성장잠재력 및 리스크) 중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은 높으나, 환경오염 등의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며, 비친화적 기업환경은 우리기업 진출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ㅇ 인구증가와 생산기지 역할 확대(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성장잠재력은 높지만 환경오염, 인프라부족 및 높은 규제비용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ㅇ 서방 경쟁기업들이 이미 진출해 있는데다, 정부규제 등으로 기업환경이 인근 국가(중국, 아세안)에 비해 열악한 점은 우리기업 진출의 걸림돌로 작용 


◆ (결론 및 시사점) 중간재·자본재 시장 공략을 강화하는 한편, 소비재 수출의 다양화·고급화를 도모하고 특히 인도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현지 정부규제, 비친화적 기업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국제경제부 국제종합팀
전화번호
02-759-427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