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에너지 위기 대응 현황 및 재정건전성 평가

구분
세계경제
등록일
2023.01.29
조회수
2392
키워드
유럽 에너지 위기 대응 재정건전성
담당부서
미국유럽경제팀(02-759-5282)

국제경제리뷰: 유럽 에너지 위기 대응 현황 및 재정건전성 평가


◆[검토배경]최근 에너지 위기에 대응 과정에서 유럽지역이 재정 확대기조를 지속하면서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점검해 볼 필요


◆[에너지 위기 대응]EU 국가들은 에너지 가격 급등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2022년중 약 2천억 유로(GDP 대비 1.2%) 규모의 정책을 집행

  ㅇ동 정책 대응은 ①보편적 가격정책의 높은 비중, ②횡재세 도입, ③EU 차원의 간접 지원 등이 주요 특징

    ①(‘보편적 가격정책’ 중심)신속한 정책집행, 지원대상 정보 부족, 높은 관리비용 등에 대한 고려가 우선시되면서 IMF 등의 제안(선별적 소득정책)과 달리 보편적 가격정책이 주로 집행

    ②(횡재세 도입)그리스, 이탈리아 등 일부 국가는 에너지 위기 대응에 따른 재정부담을 고려하여 횡재세(windfall tax)를 통해 일부 세수를 보충

    ③(EU 차원의 간접 지원)EU집행위는 직접적인 자금·보증 지원보다는 에너지 공동구매, 에너지 가격 및 천연가스 재고관리 기준 제시 등을 통해 회원국들을 간접적으로 지원


◆[재정건전성 리스크]코로나 및 에너지 위기 대응으로 유럽지역 재정건전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향후 에너지 공급차질이 심화될 경우 이탈리아와 같은 국가를 중심으로 재정취약성이 크게 증대될 가능성

  ㅇ(현황)코로나 충격과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탈리아, 스페인 등 고부채 국가를 중심으로 재정건전성 지표가 악화


◆[전망]향후 ①에너지 공급차질이 현재 수준으로 이어질 경우 유럽지역 재정건전성이 다소 개선되겠으나

    ②에너지 공급차질이 심화되고 재정 대응이 확대될 경우 이탈리아 등 가스  의존도가 높은 고부채 국가를 중심으로 재정취약성이 증대될 위험

    ▪가스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에너지 공급차질에 따른 성장 둔화와 재정수요 증가가 더욱 크게 나타나며 특히 고부채 국가는 재정건전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크게 증대될 위험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국제경제부 국제종합팀
전화번호
02-759-427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