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세계경제의 특징 및 리스크 요인

구분
세계경제
등록일
2022.12.04
조회수
4961
키워드
세계경제 특징 리스크 요인 동반 위축
담당부서
국제종합팀(02-759-5233)

내년도 세계경제의 특징 및 리스크 요인


Ⅰ. 최근 세계경제의 흐름

□ 세계경제는 금년 초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크게 증대된 가운데 

   이에 대응한 주요국의 통화긴축 강화와 유럽 에너지 위기 심화, 중국경제 부진 등으로 하반기 들어 성장세가 빠르게 둔화


Ⅱ. 내년도 세계경제 흐름의 주요 특징 

【주요국 경기 동반 위축에 따른 회복세 둔화】 최근 세계 3대 경제권(미국·유럽·중국)에서 발생한 충격이 지속되면서 주요국 경기가 동반 위축되고 회복흐름도 둔화

  주요국의 통화긴축 강화 및 경기 위축은 주변국의 금리인상 압력과 수출 둔화 요인으로 작용하며 경기 부담을 가중

【신흥국 경기 둔화 우려】 신흥국 성장세가 차별화되는 가운데 최근 신흥국 경제 둔화조짐이 나타나면서 경기하강 우려가 증대

  향후 코로나19 기간 중 투자 위축, 원자재 가격 조정 추세 등을 감안할 때 신흥국 성장세가 약화될 가능성

【세계교역의 둔화】 글로벌 공급차질, 주요국 성장둔화로 세계교역이 낮은 증가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주요국을 중심으로 크게 둔화되겠으며, 여행서비스를 중심으로 상품교역에서 서비스교역으로의 rebalancing이 지속

 달러화 강세 및 투자 증가세 둔화는 세계교역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


Ⅲ.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

【분절화(Fragmentation) 대두】 미·중 무역갈등에서 촉발된 분절화 조짐이 최근 본격화되면서 성장과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분절화 위험은 2018년 미·중 무역분쟁 이후 對러 경제제재로 고조되었으며 최근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미·중 간 경쟁이 심화되며 확대될 소지

② 【중국경제 성장 모멘텀 회복 지연 가능성】 봉쇄정책 및 부동산 경기둔화 등에 따른 중국경제 부진 장기화는 세계경기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

  제로코비드 기조 지속, 부동산시장 부진 장기화 등으로 중국경제의 성장 모멘텀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

【경상수지 적자 신흥국 취약성】 최근 급격한 금리인상 및 달러화 강세로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되면서 신흥국 경기 위험이 증가

  현재 신흥국들의 금융위기 동시발생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경상수지 적자국 등 일부 취약국은 위험이 잠재


Ⅳ. 종합평가

□ 코로나19 회복 과정에서 발생한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인플레이션 급등, 그리고 이에 대한 정책대응으로 세계경제의 성장흐름은 크게 둔화될 전망

  ㅇ 아울러 분절화 등 구조적 리스크 요인들은 향후 글로벌 경제의 회복을 지연시킬 가능성

□ 최근 나타나고 있는 주요국의 긴축속도 조절 움직임과 중국의 방역정책 완화 조짐 등은 내년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상방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ㅇ 다만 과거와 달리 각국의 적극적인 공조노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할 때 하방리스크 요인 현실화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국제경제부 국제종합팀
전화번호
02-759-427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