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교역의 주요 특징 및 향후 전망

구분
세계경제
등록일
2020.12.06
조회수
6922
키워드
세계교역 코로나19 상품교역 서비스교역 GVC
담당부서
국제종합팀(02-759-5233)

최근 세계교역의 주요 특징 및 향후 전망

(국제경제리뷰, 제2020-25호)



◆(검토배경)세계교역은 지난 6월 이후 당초 예상보다 양호한 개선흐름을 보여 코로나19 사태 초기 제기되던 우려가 완화되었음에도 올해 10%대 감소폭을 나타낼 전망


 ⇒ 코로나19 이후 나타난 글로벌 교역 변동의 주요 특징과 교역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함



 (최근 세계교역 변동의 주요 특징)


◆세계교역량 감소는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금번 성장 위축이 극심했던 점을 감안하면 교역량의 위축정도는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


  ㅇ이는 금번 경제위기가 금융위기 때와 달리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발생(unique recession)한 데 주로 기인


◆상품교역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크게 위축되었으나 금년 중반 이후 빠르게 반등


  ㅇ선진국의 상품소비가 빠르게 회복되고 무역금융도 주요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등으로 크게 제약되지 않은데 기인


◆서비스교역은 해외여행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위축되고 회복속도도 매우 완만한 모습


  ㅇ각국이 방역차원에서 자체규제(self-regulation)를 도입하면서 해외여행이 중단된 가운데 기업의 글로벌 영업활동이 위축된 데에 영향



 (향후 세계교역 여건 점검)


  ① 글로벌 통상환경의 개선


   ㅇ교역 관련 이해대립이 여전히 첨예한 상황이나 바이든 신정부 출범은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다만 바이든 신정부도 리쇼어링 촉진과 함께 대체로 대중 강경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② 중국경제의 견실한 회복


   ㅇ중국경제의 견실한 회복이 상품교역 개선을 견인할 전망


     ▪최근 글로벌 분업체계가 약화되고 있으나 중국, 미국, 독일 등 GVC 핵심 국가 간의 상호의존도는 오히려 강화


  ③ 글로벌 투자심리 회복


   ㅇ상품교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투자도 완만하게나마 회복될 것으로 예상


     ▪주요국 기업들의 생산증가 전망 확산과 함께 자본재 생산기업의 신규수주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


   ㅇ미국의 경우 선거, 경제정책, 백신 보급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된다면 기업투자의 회복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Goldman Sachs)


  ④ 글로벌 인적교류 제약 지속


   ㅇ감염병 유입 방지를 목적으로 엄격한 출입국 관리가 유지되면서 인적교류 위축이 장기화될 전망


   ㅇ백신 및 치료제가 상용화된 이후에도 자유로운 국가간 이동이 이루어지려면 집단면역 달성이 필요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


  ⑤ 구조적 제약요인의 강화


   ㅇ(자국 중심의 GVC 재편)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자국 중심의 GVC 재편이 가속화면서 글로벌 교역 확대를 저해할 소지


     ▪생산 및 핵심 원부자재 조달 차질을 경험하면서 해외 생산기지의 리쇼어링, 부품 국산화 등 공급망의 안전성‧복원성을 중시


   ㅇ(중국의 내수중심 성장전략) 중국이 내수중심의 성장전략을 강화하면서 글로벌 교역 확대를 제약할 것으로 보임


     ▪중국은 수출중심 성장전략이 한계에 직면하자 지난 수년간 내수확대, 국내공급망 확충 등을 통해 무역의존도를 점진적으로 낮추어 왔음


     ▪지난 5중전회(10.26~29일)에서 발표된 중국의 쌍순환방식 성장전략 추진은 첨단기술 등에 대한 해외의존도도 낮출 전망



 (향후 전망 및 시사점)


◆향후 세계교역은 서비스교역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상품교역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ㅇ다만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자국 중심의 GVC 재편이 가속화되고 중국이 내수중심의 성장전략을 추진하면서 세계교역량 증가 추세는 위기 이전에 비해 다소 둔화될 가능성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국제경제부 국제종합팀
전화번호
02-759-427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