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국문)_블로그_기업이윤_썸네일원본.png

기업이윤과 인플레이션: 주요국과의 비교

등록일
2023.08.01
조회수
23159
키워드
담당부서
조사국 물가고용부 물가동향팀
저자
장병훈·송상윤 과장, 임웅지 차장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의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는데, 유로지역을 중심으로 기업이윤 증가가 이에 대한 주요 배경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1]. 이에 본 블로그에서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물가 급등에 대한 기업이윤의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유로지역 및 미국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소비자물가와 유사한 흐름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민간소비지출 deflator[2]의 상승률을 국민계정 상의 부가가치 항목(피용자보수, 영업잉여[3], 세금[4]) 및 수입물가에 따른 기여도로 분해하여 점검해 보았다[5].



민간소비지출 deflator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유사한 흐름을 나타내는 경향


그림 1. 소비자물가, 민간소비지출 deflator, GDP deflator 상승률

<한국>


<미국>


<유로지역>



자료: 한국은행, 통계청, Eurostat, BEA, BLS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물가 상승에 대한 기업이윤의 영향이 크지 않은 편



2022년 우리나라의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률에 대한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세금 및 수입물가의 기여도를 살펴보면[6], 수입물가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유로지역이나 미국과 달리 영업잉여의 영향은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팬데믹 이후 영업잉여의 기여도 추이를 보면, 유로지역이나 미국의 경우 꾸준히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2021년 중 IT업황 호조 등으로 증가하였다가 2022년에는 상당폭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로지역과 미국의 경우 최근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에 대한 영업잉여의 기여도가 확대되는 모습


[그림 2]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률 분해 결과1)

<유로지역>


<미국>



주: 1) 유로지역은 분기 데이터, 미국은 연간 데이터 기준

자료: Eurostat, BEA, IMF,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경우 유로지역이나 미국과 달리 수입물가가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을 주도


[그림 3] 우리나라의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률 분해 결과

<기여도 분해 결과>


<영업잉여 중 전기·가스·수도업의 기여도>



자료: 한국은행


공급망 차질, 전쟁 등의 영향이 우리나라에서 상대적으로 작았던 가운데
주요국에 비해 원가상승부담의 가격전가 정도가 크지 않았을 가능성


우리나라에서 지난해 물가 상승에 대한 영업잉여의 기여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유로지역이나 미국에 비해 글로벌 공급망 차질, 러-우 전쟁 등의 영향을 적게 받아 수급불균형에 따른 기업의 가격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던 데 어느 정도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로지역의 경우 팬데믹 시기에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기업이 가격을 상당폭 인상한 것으로 추정(Hahn, 2023)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수급불균형에 따른 가격 인상폭이 유로지역에 비해 크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한전, 가스공사 등이 포함된 전기·가스·수도업의 영업잉여 기여도가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낸 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지난해 유가 및 천연가스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상승부담이 전기·가스요금에 적게 반영되면서 관련 공기업은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하는 부작용이 있었지만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하였다. 전기·가스·수도업을 제외하고 보면, 지난해 물가 상승에 대한 기업이윤의 영향이 플러스로 나타나지만 이 경우에도 지난해 우리나라 물가 상승에 대한 영업잉여의 기여도는 유로지역이나 미국에 비해 여전히 상당폭 낮은 수준이다.



정책당국의 노력과 더불어 가계와 기업이 고통을 분담함으로써
지난해 우리나라의 물가상승압력을 주요국에 비해 다소 낮춘 측면이 있는 것으로 평가


종합해보면, 2022년 중 국내 물가의 큰 폭 상승은 수입물가에 주로 기인하며 유로지역이나 미국에 비해 영업잉여와 피용자보수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책당국의 물가안정 노력과 더불어 가계와 기업이 과도한 임금 및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등 고통을 분담함으로써 이차효과의 확산이 제약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 시기 조정 및 인상폭 축소 등으로 한전, 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이 지난해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한 점에 비추어볼 때, 공공부문이 물가상승압력을 낮추는 데 상당히 기여한 측면도 있다.
한편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을 중심으로 지난해 크게 높아졌던 수입물가가 금년 들어 상당폭 하락한 점을 감안할 때, 올해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률은 피용자보수나 기업이윤이 큰 폭으로 늘어나지 않는 한 지난해에 비해 상당폭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향후 국제유가 추이, 이상기후에 따른 곡물가격 변동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1] 기업이윤 증가가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현상을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으로 칭하기도 하는데, 이와 관련한 최근 연구로는 Hansen et al. (2023, IMF), Hahn(2023, ECB), Haskel(2023, BOE)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2] GDP deflator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있으나 GDP deflator는 개념상 수입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에서 수입재의 비중이 적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소비지출 deflator와의 괴리가 클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이후 우리나라의 GDP deflator와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률 간 차이가 크게 확대되었다.

[3] 기업 재무제표상의 영업이익은 국민계정상의 순영업잉여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본 블로그에서는 기업에 귀속되는 명목소득 전체를 파악하고 이를 주요국과 비교·분석하기 위해 고정자본소모를 포함하는 총영업잉여(gross operating surplus, 순영업잉여 + 고정자본소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기타생산세에서 기타생산보조금을 차감한 순기타생산세를 의미한다. 기타생산세는 부가가치세와 같이 재화나 서비스 등의 생산물에 부과되는 생산물세와는 달리, 생산에 사용된 토지나 건물 등에 대한 세금으로 예를 들어 재산세, 인지세 등을 들 수 있다.

[5] 물가 상승은 노동자의 임금(피용자보수), 기업의 이윤(영업잉여), 정부의 수입(세금) 등과 같은 명목소득의 증가로 귀결되거나 수입물가 상승과 관련된다.

[6] 민간소비지출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부분(부가가치)뿐 아니라 수입품도 포함되기 때문에 민간소비지출 deflator 상승률에 대한 부가가치 항목별 기여도를 제외하고 남은 잔차(residual)는 수입물가의 기여도로 간주될 수 있다. 민간소비지출 deflator 분해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ansen et al.(2023)을 참고하기 바란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