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과 잠재성장률

구분
경제동향·전망
등록일
2008.12.16
조회수
31564
키워드
담당부서
경제교육기획팀(--)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경제성장률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경기 과도한 상승땐 인플레 부작용


2008년도 경제 성장률은 대체로 4%대 중반일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인들도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경제성장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숫자를 목표로 내세우기도 한다. 물론 높은 숫자다. 그런데 경제성장률은 경제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기가 쉽지만 규모가 커질수록 낮아지게 마련이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의 최근 경제성장률과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의 관계를 그림으로 그려 보면 1인당 GDP가 클수록 경제성장률 수준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GDP는 생산에 참여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소득의 원천이 된다. 경제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근로자와 기업이 벌어들인 소득의 증가율이 높다는 것이고, 국민의 생활 형편도 좋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민들이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률이 달성되고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사람들은 소득 수준을 높여 줄 수 있는 정치인에게 표를 줄 것이다. 국민의표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정치인들이 국민의 생활 형편이 얼마나 나아지는가를 나타내는 성적표인 경제성장률에 많은 관심을 두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또 마땅히 그래야 한다.

그렇다면 경제성장률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일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경제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생산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생산을 아무리 많이 해도 사는 사람이 없다면 소용이 없다. 생산은 소비나 투자와 같은 수요가 있기에 이뤄지는 것이다.

즉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려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만들어 내는 것이다. 경제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수요가 활발하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수출이 활발하다는 것은 국내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해외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생산 능력은 생산 설비나 노동력 등 생산에 투입되는 요소의 제약으로 짧은 기간에 크게 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만일 수요가 공급 능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늘어나 생산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초래된다. 또한 국내에서의 공급 능력이 한계에 부딪치면 부족분을 해외에서 들여오게 되므로 경상수지가 악화된다. 정책 당국의 입장에서는 이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성장률을 적정한 수준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적정 성장의 기준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생기는데 잠재 GDP라는 개념이 그 역할을 한다. 잠재 GDP란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을 뜻하며 그 증가율이 잠재 성장률이다.

실제 GDP가 잠재 GDP를 넘어섰다면 이는 경기가 과도하게 상승해 인플레이션과 경상수지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하므로 정책 당국은 경기를 진정시키기 위한 긴축정책 시행을 검토해야 한다. 반대로 실제 GDP가 잠재 GDP를 밑돌 때에는 생산 설비, 노동력 등 생산요소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정책 당국은 경기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시행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잠재 GDP는 경제 정책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지만 실제 GDP와는 달리 관측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잠재 GDP 및 잠재 성장률은 여러 가지 기법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누가 어떤 방법으로 계산하느냐에 따라 추정 결과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의 잠재 성장률이 어느 수준인가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환위기 이전 1990년대의 7% 정도에서 외환위기 직후 크게 낮아졌다가 최근에는 4%대 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성장률과 잠재성장률 간의 관계에 비춰 볼 때 소비나 투자와 같은 수요를 짧은 기간에 늘려 경제성장률을 높이기보다는 기술 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잠재 성장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선 사회간접 자본의 확충과 보수 유지가 중요하다.

로마가 지중해를 내해(內海)로 하는 광대한 영토를 점령하고 통치하면서 오랜 기간 융성했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로마인이 사회간접자본의 중요성에 주목한 최초의 민족이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사회간접자본 확충이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또 생산성 향상이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아는 것과 실천으로 꾸준히 옮기는 것은 별개의 문제일 수 있다. 잠재 성장력의 확충을 통해서만이 우리나라를 바짝 따라오고 있는 경쟁국들에 따라 잡히지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우리를 앞서가고 있는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적정한 경제성장률은 잠재 GDO 성장률 수준 설명 이미지

OECD 주요국의 1인당 GDP와 경제성장률(2000~2006) 그래프

 

 

71년~07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그래프 설비투자 위축·급격한 고령화‥잠재성장률 ↓

잠재 성장률이 최근 들어 낮아진 원인은 무엇일까? 먼저 설비 투자의 위축을 들 수 있다. 설비 투자는 소비, 수출 등과 더불어 국내총생산(GDP)을 결정하는 수요 항목이지만 공급 측면에서도 자본 축적을 통해 생산 능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설비투자는 1990년대 외환위기 이전까지 증가율이 연평균 9.6%였으나 2001~2007년에는 3.2%에 불과했다.

다음으로 출산율 저하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의 공급 둔화를 들 수 있다. 1980년대까지 2%대 중반 정도의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던 15~64세 생산가능 인구가 최근에는 0.6% 정도 늘어나는 데 그치고 있다. 1955~1963년생 베이비붐 세대의 노동시장 진입이 1980년대 말 완료됐고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 출산율이 1명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대폭 하락했기 때문이다.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우리나라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중국 등 후발국에 잠식당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잠재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꼽힐 수 있다.

더욱이 고용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첨단기술 정보통신산업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수출 증대가 국내의 생산, 고용 등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이와 함께 고용사정 악화와 가계 부채 증가 및 신용불량자 문제 등으로 소득분배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도 잠재 성장률에는 부정적이다.

 

2007년 국가별 GDP(명목)순위 (단위:조달러)를 나타낸 그래프 한국 GDP 46년간 3천배 ↑

경제 성장률이란 한 나라가 경제적으로 이루어 낸 결과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다. 구체적으로는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증가율을 의미한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실질 GDP는 798조원으로 2006년의 760조원보다 38조원 늘어났다. 38조원을 2006년 실질 GDP 760조원으로 나누면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5%가 되는 것이다.

GDP란 일정 기간 국내에서 생산 활동을 통해 만들어 낸 부가가치의 합계이다. GDP는 화폐 단위로 측정하기 때문에 화폐의 가치, 즉 물가 수준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경제성장률을 계산할 때는 특정 연도의 물가 수준을 기준으로 측정한 실질 GDP를 사용한다.

 

2007년 국가별 GDP(명목) 순위 (단위:조달러)

 

현재 우리나라는 2000년 가격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있다. 참고로 당해 연도 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한 명목 GDP는 2006년과 2007년 각각 848조원과 901조원이다.

국가 간 경제력을 평가할 경우 연간 GDP 규모를 비교한다. 이때는 각국의 화폐 가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미국 달러화로 환산한 수치를 활용한다.

세계은행이 미국 달러화를 기준으로 발표한 지난해 각국의 GDP 규모는 미국이 13조8100억 달러로 1위다. 일본(4조3800억 달러)이 미국의 3분의 1 수준으로 2위이며 독일 중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각각 일본의 절반 정도 수준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우리나라는 약 9700억 달러로 13위였다.

우리나라의 GDP 규모를 살펴보면 드라마틱한 경제의 성장세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당해 연도 가격 기준으로 1961년 3000억 원에 불과하던 GDP 규모는 △1971년 3조4000억 원 △1981년 49조원 △1991년 226조원 △2001년 622조원 △2007년 901조원으로 46년간 3천배 늘어났다.

GDP 통계가 작성된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두 차례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적이 있다. 바로 국제 원유가격 급등과 대통령 암살이라는 국내정치 상황이 맞물렸던 1980년과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8년이다.

이 두 해를 제외하고는 1970년대와 1980년대까지 연 7~9%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다. 이후 1990년대 들어 외환위기 전까지 7%대 초반으로 떨어졌고 2000년대 들어선 5%대 초반으로 더욱 낮아졌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