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변화와 소비간의 관계 분석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14.09.17
조회수
9138
키워드
부동산시장변화 소비관계분석 BOK 이슈노트
담당부서
뉴미디어팀(02-759-4200)

 제목 : 부동산시장 변화와 소비간의 관계 분석

 

 저자 : 황상필(한국은행 조사국 팀장), 정원석(한국은행 조사국 조사역)

 

 <요  약>

 

  주택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주택소유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크게 하락하였는데 최
근 가계소비 부진은 주택시장 상황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가계대출이 대부분
주택담보대출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택경기 부진에 따른 담보가치 저하와 가계부채에
대한 상대적 부담 증가 등이 소비를 제약하였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자산가치 변화의 소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DSGE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

나라의 주택가격 및 가계대출은 주택수요 변화를 나타내는 주택선호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동 충격은 소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陰(-)의 주택선호충격이 발생하면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이로 인해 가계의 자금차입에 제약이

발생하면서 차입제약가계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한다. 이러한 차입제약가계의 비중이 높아질

경우 주택가격 하락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확대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인구고령화, 주택가격 상승기대 완화 등으로 주택구입 수요가 약화
되면서 주택시장 부진이 지속될 경우 소비 등 경제성장 회복이 제약될 우려가 있다. 주택시장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주택시장 변동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여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경제안정화 정책을 수행할 필요가 있겠다.

 

  아울러 가계부채 수준이 이미 높아진 상황에서 주택가치 변동 등에 따라 자금차입에 제약을

받는 가구가 늘어날 경우 경제충격에 따른 경제변수들의 반응이 커질 수 있음에도 유의하여야

하겠다.

 

 <차 례>

 

Ⅰ. 검토배경

 

Ⅱ. 기존연구 개관

 

Ⅲ. 주택소유가구의 경제행태

 

Ⅳ. 부동산시장 변화와 소비

 

Ⅴ. 맺음말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커뮤니케이션국 디지털미디어기획팀
전화번호
02-759-539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