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월 핵심이슈] 공급망 연계성을 고려한 對중국 수출 평가와 시사점

구분
경제일반 세계경제
등록일
2024.08.26
조회수
2770
키워드
수출 중국 경제전망 공급망
등록자
정선영,정동재,최준,이규환,안병탁
담당부서
거시분석팀(02-759-5263)


KEY TAKEAWAYS


1. 2010년대 중반부터 중국으로의 수출이 정체되고 지난해에는 무역수지가 적자를 보이는 등 대중 무역구조가 달라지고 있다. 대중 수출의 80% 이상이 중국의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중간재인 만큼 최근의 교역구조 변화도 양국 간 생산 연계성 변화를 통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2.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연계생산*2000년 이후 매년 GDP1.3%에 해당하는 규모씩 증가하며, 수출이 정체되던 2010년대 중반에도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 OECD 국제산업연관표의 수출측 해외생산 익스포저 개념으로, 중국에서의 최종생산에 쓰일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단계의 중간재를 포괄(OECD 2024)

 

     ** 대중 수출의 GDP 대비 비율은 201011.4%에서 202011.9%로 소폭 상승한 데 그친 반면, 대중 수출연계생산 비율은 15%에서 17%로 꾸준히 확대되었다.


3. 이러한 흐름을 중국 및 글로벌 수요에 기인한 부분과 중국의 기술경쟁력 제고 등에 따른 생산구조 변화에 기인한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① 중국 및 글로벌 수요는 중국의 고성장 등으로 2010년까지 수출연계생산을 빠르게 높이는 요인이었으나, 이후로는 그 긍정적 영향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② 반면 생산구조유발계수 변화는 중국의 중간재 경쟁력 제고 등을 반영하며 2005년경부터 지속적으로 대중 수출연계생산을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업별로는 섬유·의복(90년대 후반)화학, 철강·금속(00년대 중반)석유정제(10년대)IT*(18년 이후) 순으로 대중 수출연계생산이 구조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반도체, 컴퓨터 및 전자제품(OECD 기준 C26)

 

      → 2010년 이후에도 수출연계생산이 매년 GDP0.9%씩 평균적으로 증가한 것은 생산구조 변화로 인한 감소 효과(-0.7%)가 수요 호조(+1.6%)로 인해 상당 부분 가려져 온 결과로 판단된다.

 


4.  최근에는 미·중 갈등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와 생산구조 변화 측면에서 동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대중 수출 및 수출연계생산을 추가로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5.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중 수출이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중국의 성장 흐름도 개선된다면 수요 요인에 따라 수출연계생산이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생산구조 변화로 인한 하락 요인이 지속되고 있어 과거만큼의 호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중국이 첨단기술 분야에서도 자립도를 높여가고 있는 만큼, 이에 발맞춰 우리 경쟁산업도 기술혁신을 통한 레벨업이 긴요하다 하겠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