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정국 썸네일.jpg

2023년 2월 기준금리 결정의 주요 배경

등록일
2023.02.28
조회수
14525
키워드
기준금리
담당부서
통화정책국장
저자
홍경식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차를 두고 파급되면서 물가상승률 둔화 효과는 금년중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물가 오름세가 연중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미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 중국경제의 회복 속도와 영향, 공공요금 인상 시기 및 폭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는 가운데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의 전개 상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


지난 2월 23일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3.50%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다. 향후 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는 통화정책의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에는 물가상승률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 그간 빠르게 올려왔던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영향을 점검할 필요가 있는 점, 그리고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 그 전개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이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이하에서는 금리인상의 파급영향과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정책 시차를 고려할 때 그간의 금리인상의 물가 둔화 효과는 금년에 보다 확대


우선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시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조정하면 시장금리와 여수신금리 등 금융시장에 1차적으로 파급되면서 소비와 투자 조정이 나타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물가가 조정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물가 파급시차는 국가별, 경제여건별로 다르지만 한국은행 계량모형 등에 따르면 기준금리 조정의 물가 영향은 4~6분기 이후부터 본격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실질소비와 민간소비 디플레이터 흐름의 변화를 살펴보더라도 이러한 파급시차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2021년 8월 이후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높은 실질소비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민간소비 디플레이터 상승률도 높아져 왔는데, 지난해 하반기에는 두 변수가 동반 둔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그림1. 참조]. 이는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차를 두고 소비 조정을 통해 수요측면의 물가 압력을 점차 둔화시키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1] 한편, 한국은행은 물가 오름세 확대에 대응하여 2021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기준금리를 총 300bp 인상하였다. 코로나19 이후 한국과 주요국의 물가상승률 확대폭과 정책금리 인상폭을 비교해 볼 때 한국은행의 정책 대응 정도는 주요국의 평균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그림2. 참조].

그림 1. 최근 실질소비 증가율과 물가상승률1)


이 그래프는 2020년 1/4분기부터 2022년 4/4분기까지의 민간소비 증가율과 물가상승률을 전기비연율로 계산하여 산포도로 나타낸 후, 이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보여줍니다. 2022년 하반기 이후 민간소비 증가율과 소비디플레이터 기준 물가상승률이 낮아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주: 1) 민간소비 디플레이터 기준, 2022년 4/4분기는 소비자물가지수로 추정

자료: ECOS, 한국은행



그림 2. 주요국1) 정책금리 인상폭 및 물가상승률 확대폭2)


이 그래프는 2020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의 각국의 물가상승률 확대폭과 정책금리 인상폭 간의 관계를 산포도로 보여줍니다. 한국의 물가상승률 확대폭과 금리인상폭은 13개 나라 중 평균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 1) 노르웨이, 뉴질랜드, 대만, 미국, 스웨덴, 스위스, 아이슬란드, 영국, 유로지역, 이스라엘, 체코, 캐나다, 호주 등 13개국

2) 2020년 1월~2023년 1월중 각국의 CPI상승률(전년동월대비) 최저치 대비 최고치 간 격차 및 정책금리 인상폭

자료: ECOS, 한국은행


기준금리 조정의 물가 파급시차를 고려할 때 2021년 8월~2023년 1월중 기준금리 300bp 인상의 물가 둔화 영향은 금년에 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계량모형 분석에 의하면 CPI상승률 둔화 효과가 지난해 –0.4%p에서 금년에는 –1.3%p로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3. 한국은행 기준금리1) 추이


이 그래프는 2000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의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를 보여줍니다. 코로나19 이후 0.5% 수준이었던 기준금리가 3.5%까지 높아진 상황입니다.

주: 1) 2008년 2월까지는 콜금리 목표

자료: ECOS

그림 4. 기준금리 300bp 인상의 물가 영향1)2)


이 그래프는 2021년 8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총 300bp의 기준금리 인상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각각에 미친 영향에 대한 추정치를 보여줍니다. 그간의 300bp 인상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2021년 -0.0%p, 2022년 -0.4%p의 둔화 영향을 미친 것으로, 2023년에는 -1.3%p의 둔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주: 1) 한국은행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추정치

2) ( ) 내는 연간 CPI상승률에 미치는 영향

자료: 자체추정


대내외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다음으로 여러 불확실성 요인들을 살펴보면, 대외 여건에서는 미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 중국경제의 회복 속도와 그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최종금리를 5%대 초반으로 예상했었는데, 2월 들어 미국의 고용과 물가 지표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면서 최종금리 수준 전망이 상향조정[2]되었다. 긴축 기조의 지속기간도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의 고용 및 물가 흐름에 따라서는 시장 기대가 또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이러한 지표들[3]과 3월 21~22일중 개최되는 FOMC 회의 결과를 잘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12월 방역정책 완화 이후 감염병 상황이 빠르게 안정되면서 경제활동 재개가 예상보다 빨라지는 모습이다.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는 그간 위축되었던 대중 수출과 중국인 관광객 유입 등을 통해 국내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정도가 얼마나 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또한 중국의 생산활동 증대가 글로벌 에너지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그림 5. 미 FOMC 참석자들의 적정 정책금리 점도표1) 및 미 연준 정책금리에 대한 시장 기대


이 그래프는 2023년말, 2024년말, 2025년말 시점 각각에 대하여 2022년 12월 미 FOMC 참석자들이 전망한 해당 시점 적정 정책금리 수준의 점도표와 2023년 1월 12일, 2023년 2월 24일 기준으로 시장가격에 내재된 미 연준 정책금리 기대 수준을 보여줍니다. 2023년 1월 12일 대비 2023년 2월 24일에 시장 기대치가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 1) 2022년 12월 기준

2) Atlanta 연준이 CME 선물·옵션 가격을 통해 시산한 정책금리 수준

자료: 미 연준

그림 6. 대중수출1)2)및 중국인 국내 입국자3) 규모


이 그래프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인 관광객 유입 규모와 전년 대비 대중국 수출액 증가율을 보여줍니다. 중국인 관광객 유입 규모는 기간중 누적 관광객 수 기준으로 2019년 489.3만명, 2020년 45.1만명, 2021년 1.5만명, 2022년 6.7만명입니다. 대중국 수출 실적은 통관 수출액 기준 기간중 월평균으로 2019년 -16.0%, 2020년 -2.7%, 2021년 22.9%, 2022년 -4.4%, 2023년 1월 -31.4%입니다.

주: 1) 통관 수출액 기준

2) 기간중 월평균으로 2023년은 1월 기준

3) 기간중 누적 관광객 수 기준

자료: 관세청, 한국관광공사


대내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월 이후 점차 낮아져 연말경 3%대 초반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중국경제 회복과 관련한 국제 에너지가격 움직임, 미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과 미 달러화 흐름, 공공요금 인상 시기 및 폭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그간 완만히 하락하던 기대인플레이션이 금년 들어 재상승하고 있는데, 기대형성 요인중 ‘공공요금’ 응답비중이 최근 80%를 상회하고 있다. 국민경제 전체로 볼 때 공공요금 인상은 불가피한 상황[4]이지만 근원품목 등에 대한 2차효과(second-round effect)에 대해서는 계속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부동산 경기의 향방과 성장 및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등도 아직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주택시장과 관련 자금시장 상황을 유의해서 지켜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기대인플레이션1) 및 기대형성 요인 중 공공요금 응답 비중2)


이 그래프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일반인 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과 물가상승 기대형성 요인 중 ‘공공요금’ 응답 비중을 보여줍니다.

주: 1) 일반인 향후 1년 기준

2) 물가상승 기대형성 요인중 ‘공공요금’ 응답 비중(6개요인 복수 응답)

자료: 한국은행


[1] St. Louis 연준도 실질소비와 물가상승률 동반 둔화를 미 연준 금리 인상의 물가 파급경로가 원활히 작동하고 있는 근거로 제시한 바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growth and inflation’, Sánchez, 2022년 12월)

[2] 2월 27일 현재 페더럴펀드 금리 선물에 내재된 미국 최종 정책금리(금리 상단 기준)는 5.57% 수준이다.

[3] 2월 고용 및 물가 지표 발표일: 고용 3월 10일, CPI 3월 14일, PPI 3월 15일 등

[4]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공공요금 인상을 계속 억제한다면 경상수지 적자 및 환율 상승 등의 경로를 통해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고 한전채 발행 증가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