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사표본 조사에 관한 연구(계간 국민계정 2007년 제3호)

등록일
2007.10.17
조회수
12413
키워드
절사표본조사 사업체조사 모총합 추정량 통계적 추론
담당부서
통계기획팀(02-759-5253)
절사표본 조사에 관한 연구(계간 국민계정 2007년 제3호) 작성자 : 경제통계국 지출국민소득연구반 박인호 과장(통계학 박사) 02-759-5253 (머리말) 절사표본조사란 모집단의 일부를 표본조사에서 제외시키는 조사방법이다. 조사변수의 분포가 비대칭적 성격이 강한 사업체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많이 적용된다. 첫째, 소수의 대규모 사업체들만을 표본조사에 포함하고도 모총합 기준으로 전체 사업체들을 상당부분 대변할 수 있다는 논리 때문이다. 둘째, 휴․폐업 및 전업등과 같은 변동성이 많은 다수의 소규모 사업체들을 조사에서 제외함으로써 표본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높은 무응답률로 인한 조사의 어려움을 피할 수 있는 편리성 때문이다. 모총합 추정에 있어 절사층에 대한 모형 가정은 필수적이며, 이에 따른 통계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은 조사의 특성 및 조사변수의 성격에 많이 좌우된다. 본 논고에서는 기존연구에서 고려된 방법론을 소개하고 몬테카를로 모의실험을 통하여 모총합 추정량의 효율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경제통계1국 통계기획팀
전화번호
02-759-437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