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다들 1950년 우리나라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고 있어?
한국전쟁이 터졌을 때 북한이 서울의 위조지폐를 대량으로 살포하면서
1950년 7월에서 10월, 우리나라의 밀가루 한 말 가격이 120배 상승하는 초인플레이션 사태가 일어나게 되었어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15,000원 하는 치킨 한마리에 가격이
1,800,000 원 으로 껑충 상승한 거야
진~짜 끔찍할 것 같은데 이거 실화였어
아까 한번 언급했지? 이런 사태를 초인플레이션,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라고 해
원래는 정부에서 과도하게 돈을 찍어내다보니
한달새 물가가 50% 이상 뛰는건데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전쟁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데
북한이 위조 지폐를 대량으로 살포 하면서 화폐가치가 굉장히 하락해
세 달 사이 물가가 약 11,900% 뛰게 된 거야
물가란 무엇일까
우리가 상품을 구입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가격이야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상품의 가치는 가격으로 표시 되는데
이러한 여러 상품의 가격을 종합하여 평균적으로 나타낸 것을 물가라고 해
물가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데 이러한 물가의 변동이 우리 경제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은 굉장히 커
소득이 줄지 않더라도 물가가 상승하면 가계의 소비 활동이 위축될 수 있고
이게 국가경제 전체의 침체로 연결될 수 있어
따라서 정부는 국가 경제가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물가 변동을
파악하여 물가지수를 작성하는 경제정책을 수립하고 있어
그리고 각 경제주체들은 이를 보고 경제활동을 조절하게 되는 거야
물가는 경제 상황에 따라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지만
한 나라의 경제 규모가 성장하면 일반적으로 물가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이렇게 물가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해
경기가 좋아져서 재화와 서비스의 대한 경제 전체의 수요가
경제 전체의 공급보다 많을 경우 물가가 상승하게 돼
평창올림픽 때 기념 은행권 발행된 거 알고 있지?
우리나라 최초의 2,000원권 지폐가 발행 되면서
이 기념지폐에 대한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져 2,000원권 지폐가
8,000원으로 가격이 올라 판매가 되었던 것과 같은 이치인 거야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 일정한 돈으로 살 수 있는 상품의 양이 줄어들어
대다수 사람들의 경제 생활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전체 침체로 이어질 수 있어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해
따라서 땅, 건물 등 실물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은 자산의 가치 역시 상승하여 유리하지만
임금 연금 등 고정된 소득을 받는 사람들과 은행 예금자같이 화폐소유자는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돼
이자율보다 물가 상승률이 높을 경우 사람들은 저축을 기피하게 되고
자국 상품이 외국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지므로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하여 무역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어
이처럼 급격한 물가 상승은 가계와 기업의 안정적인 경제 활동을 저해하여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어렵게 하는 거야
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면 국민들의 경제 생활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물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해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여러가지 경제정책을 실시하는데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정부는 세금을 많이 거두어들이고 지출을 줄이게 돼
이를 통해 생산과 소비를 억제하여 물가의 추가 상승을 막는 거야
중앙은행도 인플레이션이 예상되면 이자율을 높여 사람들이 저축을 많이 하도록 유도를 하게 돼
저축이 증가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가 줄어들어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거든
그밖에 정부는 생활필수품의 가격상승을 규제 하거나
사치성 소비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방법 등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고 자 노력하고 있어
가게에 적절한 소비는 기업의 투자와 생산으로 이어져 국민 경제의 성장을 가져오지만
과소비이나 불건전한 소비는 물가 불안을 가져와 경제 성장을 방해해
따라서 가계는 과소비와 사재기를 자제하고
건전하고 합리적인 소비생활로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