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경제이야기 따라잡기
6. 바람직한 선택 - 저축
한은이 : 중은아, 넌 저축을 한 달에 얼마나 하고 있니?
중은이 : 저축? 난...그런 거 안 하는데...
한은이 : 무슨 소리야~ 너 부모님으로부터 용돈도 받고 있잖아. 그런데도 저축을 안 한다고?
중은이 : 글쎄~ 난 저축이 왜 필요한지 잘 모르겠어. 당장 쓸 돈도 부족한데, 저축까지 생각할 겨를도 없고...
선생님 : 여러분은 저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혹시 중은이처럼 저축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나요? 이번 시간에는 저축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의 학습목표를 살펴볼까요?
선생님 : 석유파동이나 외환위기와 같이 경제상황이 어려울 때 가장 많이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바로 빚이 많은 사람들입니다. 일반적으로 나라 경제가 불안해지면 이자율이 크게 올라갑니다. 이럴 때 빚이 많으면 이자지급 부담이 늘어나게 되고 빚 상환 요구를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은 부도를 내게 되죠.
실제로 1997년 발생했던 우리나라의 외환위기 때에도 빚이 많아 부도를 낸 기업이나 연체자가 된 개인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외국에 비해서 저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럼, 저축은 왜 해야 하는 걸까요?
개인들이 하는 저축은 금융기관을 통해서 기업으로 흘러가 경제성장을 위한 투자자금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저축을 하지 않으면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본을 외국으로부터 빌려와야 할 것이고, 외국에 대한
채무가 증가하여 국가의 신인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겠죠. 한편 저축은 미래의 지출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입니다. 저축은 짧게는 매월 돌아오는 신용카드 사용액을 갚기 위해서, 또는 새 옷을 사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이 같은 단기적인 목적의 저축 이외에 자동차나 집을 사는데 필요한 목돈을 마련하거나 은퇴 후의 지출을 위해 하는 장기적 목적의 저축도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자신들이 벌어들이는 소득 중에서 얼마를 현재의 소비에 지출하고 또 얼마를 미래의 소비를 위해 저축으로 돌려야 할까요? 그런 면에서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예측은 저축금액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미래에 많은 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나 지출할 곳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저축을 적게 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미래에 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사람이나 지출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은 저축을 많이 해야 합니다. 이자율의 크기도 저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높아지면 현재의 소비를 줄여서 저축을 더 많이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이자율이 낮아지면 저축을 줄이게 되겠죠.
우리는 소득이나 수입 중에서 소비로 지출하지 않은 부분을 저축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예금, 주식, 채권,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저축수단 중에서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요? 저축수단을 선택할 때는 안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투자의 경우 은행 예금과 달리 그 자체의 가격 변동이 매우 심합니다. 따라서 가격이 올라 높은 수익을 올릴 수도 있지만, 가격이 떨어지면 투자한 원금마저 잃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은행의 예금을 이용하는 저축은 수익은 크지 않지만, 안전성이 매우 높습니다. 대체로 높은 수익률을 낼 가능성이 있는 저축수단은 위험성도 높으며. 반대로 원금이나 이자가 안전한 경우에는 수익률이 낮습니다. 결국 안전하고 동시에 이자가 많이 붙는 저축수단을 찾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저축하는 목적에 따라 개인들은 신중하게 저축수단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저축수단을 선택할 때에는 쉽게 돈을 찾을 수 있는지의 여부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생활비를 적립하기 위한 저축은 이자가 적게 붙더라도 쉽게 찾을 수 있는 단기 저축상품이 유리할 것이고, 노후를 대비하는 저축은 매우 장기간에 걸친 저축이기 때문에 이자가 많이 붙는 장기저축 상품이 유리할 것입니다.
축구게임,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다음 중 저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① 개인들이 하는 저축은 금융기관을 통하여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으로 흘러 들어간다.
② 저축은 한 나라의 경제성장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③ 개인들은 미래에 새 옷, 자동차, 집 등을 사기 위하여 저축하기도 한다.
④ 이자율은 개인의 소비를 결정하는 데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저축을 결정하는 데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
Q2. 저축 수단을 선택할 때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생각해야 합니다. 다음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① 주식투자는 은행예금보다는 가격 변동이 심하므로, 가격이 떨어지면 투자한 원금마저 잃을 위험이 있다.
② 은행에 예금하는 것은 안정성이 매우 높은 대신 수익은 크지 않다.
③ 저축한 돈을 많이 불리기 위해서는 수익성이 안정성 보다 중요하므로 무조건 수익성이 높은 저축수단을 선택하여야 한다.
④ 대체로 높은 수익률을 낼 가능성이 있는 저축 수단은 위험성도 높다.
Q3. 다음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① 일반적으로 단기저축상품은 이자율이 높고 장기저축상품은 이자율이 낮다.
② 생활비를 적립하기 위한 저축은 필요할 경우 쉽게 돈을 찾을 수 있어야 하므로 단기저축상품이 유리하다.
③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저축은 장기간에 걸친 저축이기 때문에 이자가 많이 붙는 장기저축상품이 유리하다.
④ 저축 수단을 선택할 때는 안정성, 수익성과 함께 '쉽게 돈을 찾을 수 있는지의 여부'도 고려하여야 한다.
1. 저축의 중요성
- 저축은 국가적으로 경제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개인적으로는 미래의 지출에 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입니다.
- 미래에 대한 예측은 저축금액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미래에 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거나 지출할 곳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저축을 적게 할 수 있도 있지마, 미래에 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거나 지출이 많을 것 같은 사람들은 저축을 많이 해야 합니다.
- 이자율의 크기도 저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높아지면 현재의 소비를 줄여서 저축을 더 많이 하지만, 반대로 이자율이 낮아지면 저축을 줄이게 됩니다.
2. 저축 수단의 선택
- 저축수단을 선택할 때는 안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대체로 높은 수익률을 낼 가능성이 있는 저축수단은 위험성도 높으며, 반대로 원금이나 이자가 안전한 경우에는 수익률이 낮습니다.
- 또한 '쉽게 돈을 찾을 수 있는지의 여부'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용
경제이야기 따라잡기(중학생)
1. 희소성과 선택 그리고 기회비용
2. 분업과 교환
3. 완전경쟁시장과 가격
4. 수요 및 공급의 변화
5. 바람직한 선택 - 직업
6. 바람직한 선택 - 저축
7. 바람직한 선택 - 소비
8. 생산의 주체 - 기업
9. 생산요소 투입과 소득분배
10.독과점시장
11.독과점 폐해와 대응
12.불완전한 시장기능을 대신하는 정부
13.커지는 정부와 나라살림
14.화폐와 통화량
15.금융과 이자율
16.국민경제의 순환과 성장
17.경제문제 - 인플레이션
18.경제문제 - 실업
19.통화정책과 재정정책
20.국제무역
21.수ㆍ출입과 국제수지
22.환율
23.우리경제의 회고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