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따라잡기(중학생)_10.독과점시장

등록일
2008.12.01
조회수
16863
키워드
담당부서
경제교육기획팀
첨부파일

자막

경제이야기 따라잡기

10. 독과점 시장

중은이 : 누나, 최근에 핸드폰 가격이 갑자기 올랐다는데, 정말 기업들이 너무한 거 아니야?

한은이 : 뭐가 너무하다는 건데?

중은이 : 아니...자기네들 돈 많이 벌려고 그렇게 마음대로 가격을 올려도 되냐고~

한은이 : 하하하! 꼭 그렇게 만은 볼 수 없어. 시장가격이란 게 그렇게 간단하게 정해지는 게 아니라고~

선생님 : 이번 시간에는 기업이 어떻게 가격을 조절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의 학습목표를 살펴볼까요?

선생님 : 어떤 기업이든지 가격을 올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요자들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이러한 허락은 묵시적 허락입니다. 소비자들이 가격이 오른 상품을 계속해서 산다면, 그 가격은 소비자들의 허락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기업이 가격을 올렸을 때 소비자들이 그 상품을 사지 않으면, 이는 소비자들의 허락을 받지 못한 것이 됩니다.

A회사는 철강을 생산하는 대기업입니다. A회사의 주식을 가진 사람이 현재 주당 15만원 하는 주식을 16만원의 가격으로 주식시장에 내어 놓았다고 가정해볼까요?

한편 A회사에서 철강 가격을 톤당 30만원에서 35만원으로 올리는 경우를 생각해 볼까요?

시장에 어떤 상품을 만드는 기업이 하나만 있는 경우를 독점이라 하고 소수인 경우를 과점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독점과 과점을 묶어서 독과점이라고도 합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독과점시장에서는 기업이 가격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갖습니다. 물론 독과점기업이라고 가격을 무한정 올릴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격을 높이면 판매량이 줄어드는 손해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독과점기업은 가격인상으로 판매량이 줄어 입는 손해보다 이익이 더 크다면 가격을 올릴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시장이 독과점화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독점시장이 되는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다른 기업들이 그 시장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장벽이 있거나 시장에 비슷한 대체재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장에서 자유로운 경쟁이 허용되더라도 소수의 기업만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독과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축구게임,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다음 글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규모의 경제가 매우 큰 경우에 나타난다. 철도, 전력 등과 같이 초기에 막대한 비용이 소용되는 사업에서 주로 발생한다.

① 자연독점 ② 완전경쟁 ③ 담합 ④ 가격통제

Q2. '규모의 경제'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무엇일까요?

①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생산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② 수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생산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③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생산비가 하락하는 현상이다.

④ 수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생산비가 하락하는 현상이다.

Q3. 독과점의 발생원인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무엇일까요?

<보기>

ㄱ. 규모의 경제

ㄴ. 특허권

ㄷ. 특별한 기술

ㄹ. 낮은 진입장벽

① ㄱ,ㄴ ② ㄱ,ㄴ,ㄹ ③ ㄱ,ㄷ,ㄹ ④ ㄱ,ㄴ,ㄷ,ㄹ



1. 기업의 가격조절 능력

- 어떤 기업이든지 가격을 올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요자들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2. 독과점


- 시장에 어떤 상품을 만드는 기업이 하나만 있는 경우를 독점이라 하고 소수인 경우를 과점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독점과 과점을 묶어서 독과점이라고 합니다.

-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독과점시장에서는 기업이 가격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갖습니다.

3. 독과점의 발생원인

- 독점시장이 되는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다른 기업들이 그 시장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장벽이 있거나 시장에 비슷한 대체재가 없기 때문입니다.

- 또한 시장에서 자유로운 경쟁이 허용되더라도 소수의 기업만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독과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용

경제이야기 따라잡기(중학생)
1. 희소성과 선택 그리고 기회비용
2. 분업과 교환          
3. 완전경쟁시장과 가격  
4. 수요 및 공급의 변화  
5. 바람직한 선택 - 직업 
6. 바람직한 선택 - 저축 
7. 바람직한 선택 - 소비 
8. 생산의 주체 - 기업   
9. 생산요소 투입과 소득분배
10.독과점시장           
11.독과점 폐해와 대응   
12.불완전한 시장기능을 대신하는 정부
13.커지는 정부와 나라살림
14.화폐와 통화량        
15.금융과 이자율                        
16.국민경제의 순환과 성장               
17.경제문제 - 인플레이션                
18.경제문제 - 실업                      
19.통화정책과 재정정책                  
20.국제무역                             
21.수ㆍ출입과 국제수지                  
22.환율                                 
23.우리경제의 회고와 전망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경제교육실 경제교육기획팀
전화번호
02-759-4269, 5325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