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따라잡기(중학생)_3. 완전경쟁시장과 가격

등록일
2008.12.01
조회수
13620
키워드
담당부서
경제교육기획팀
첨부파일

자막

경제이야기 따라잡기

3. 완전경쟁시장과 가격

중은이 : 아줌마~ 좀 더 싸게 살 수 없을까요?

가게 아줌아 : 무슨 소리야~ 우리도 장사하는 것인데 가능하면 비싸게 팔아야 좋지~ 손해보고 팔 순 없잖아.

중은이 : 에이~ 너무해요.

한은이 : 중은아, 그렇게 무조건 싸게만 팔으시라고 하면 안돼. 시장에는 경제활동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적정 가격이란게 있는 거야.

중은이 : 가격이라구? 그건 누가 정하는 건데?

한은이 : 글쎄, 그건 나도 잘 모르겠는데~

선생님 : 시장에서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며 어떤 기능을 하게 되는 걸까요?

오늘은 가격의 기능과 결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의 학습목표를 살펴볼까요?



선생님 : 경제학의 시조인 아담 스미스는 사람들의 행동을 조절하는 두 가지 기구를 이기심과 가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기심과 가격에 의해 사람들의 행동이 조절되어 시장기구가 작동하는 것을 '보이지 않는 손'에 비유하였습니다. 소비자들은 가능하면 소비에서 얻는 만족감을 크게 하고, 가격이나 비용을 적게 지불하고 싶어 합니다. 즉, 상품의 소비에서 얻는 만족과 자신이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을 비교하여 최소한 자신이 지불하는 가격보다 만족이 더 커야 상품을 구매하려고 하죠.

기업도 물건을 만드는 비용과 그 물건이 팔리는 가격을 비교하여 가격이 생산비보다 높아야 상품을 생산하여 판매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생산비에 비해 가격이 높은 상품부터 우선 생산하여 공급하게 됩니다.

이처럼 소비자와 기업 모두 소비나 생산을 할 때 가격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시장경제에서 기업이 생산한 상품을 누가 소비할 것인가는 가격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1988년 무렵 한국에 이동전화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는 전화기 한대의 가격이 수백만 원을 넘었고 사용요금도 매우 비쌌지만, 사업상의 필요나 개인적인 이유로 꼭 필요한 사람들은 매우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동전화기를 구입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시장가격은 어떤 상품이 꼭 필요한 사람들에게 판매되어 소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그렇다면 시장경제에서 어떤 상품을 누가 생산할 것인가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앞에서 말한 수백만 원 대의 이동전화기를 한국에 처음 공급한 회사는 미국의 다국적기업인 모토롤라였습니다.

그러나 요즈음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이동전화기는 한국 기업들이 생산한 것이죠. 우리 기업들이 생산하는 이동전화기가 모토롤라 제품보다 부가기능이 더 많고, 디자인이 좋으면서도 가격은 더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기업들이 어떤 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가격은 이러한 신호기능 이외에 장기적으로 자원의 이동을 가져옵니다. 즉 희소한 자원을 가격이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왜 능력 있는 사람들이 소득이 높은 직종으로 이동하며, 가격이 높은 상품으로 사회의 생산자원이 이동하는 걸까요?

그럼, 이번에는 항공사의 사례를 통해 수요와 공급을 조정하는 역할로서 가격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까요? 항공사들은 예약한 승객들이 취소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보통 비행기의 좌석수보다 예약을 더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만약 300명의 좌석이 있는 비행기에 330명의 예약자가 나타나는 경우가 생겼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러한 경우 항공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항공사들은 여러 가지 혜택을 제시하면서 이번 비행기의 좌석을 양보하고 다음 비행기를 탈 자원자를 찾게 됩니다.

만약 제시하는 부가서비스가 작아 탑승을 포기하는 자원자가 충분하지 않으면, 항공사는 계속해서 보너스를 추가하여 자원자를 모집합니다. 이런 방법은 가격을 높여서 비행기 좌석을 누가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인 셈입니다.

공급량에 비해 수요가 더 많은 경우 가격에 의하지 않고 수요자들에게 배급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추첨이나 선착순에 의한 분배방법이 있습니다.

초창기의 경제학자들에게 휴대전화기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느냐 물으면 어떻게 대답했을까요?

아마도 휴대전화기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대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같은 질문을 상품의 가격이 생산비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한계효용학파 사람들에게 질문했다면, 이동전화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만족감, 즉 효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가격은 생산자의 생산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일까요? 아니면 소비자의 효용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일까요?

상품의 가격은 그 상품의 생산비와 그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효용의 크기가 같은 곳에서 결정됩니다.

상품의 가격은 생산자들의 생산비를 반영한 공급과 소비자들의 효용을 반영한 수요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여기서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는 그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견을 나타내고 공급은 생산자들의 의견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생각이 바뀌어서 수요가 변하거나 생산자들의 생각이 바뀌어 공급이 변하면 가격도 변하게 됩니다.

그럼, 상품의 수요와 공급이 변화함에 따라 가격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좀 더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도록 할까요?



축구게임,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경제학의 시조인 아담 시미스는 사람들의 행동을 조절하는 두 가지 기구를 '이기심과 가격'이라 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바르지 못한 설명은 무엇입니까?

① 시장경제가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② 소비자는 생산비용을, 생산자는 가격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한다.

③ 아담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과 관련이 있다. ④ 소비자의 이기심은 소비에서 얻는 만족감과 관련이 있다.

Q2. 시장에서의 가격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입니까?

① 어떤 상품을 누가 소비할 것인지 결정한다. ② 생산요소를 이동시키는 신호가 역할을 한다.

③ 어떤 상품을 누가 얼마나 생산할 것인지 결정한다. ④ 희소한 자원을 가격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Q3. 공급에 비해 수요가 더 많은 경우 가격에 의하지 않고 추첨이나 순착순(줄서기)의 방법으로 자원을 배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입니까?

① 추첨은 의소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방법이다.

② 줄서기는 수요자들이 재화에 대해서 느끼는 만족의 크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③ 줄서기는 수요자의 절실함을 부분적으로 반영하기는 한다.

④ 줄서기는 기다리는 데 들어가는 시간의 가치가 낮은 한가한 사람들에게만 유리한 방법이다.



1. 가격의 기능

- 아담 스미스는 이기심과 가격에 의해 사람들의 행동이 조절되어 시장기구가 작동하는 것을 '보이지 않는 손'에 비유하였습니다.

- 시장가격은 어떤 상품을 누가 생산할 것인지, 또 누가 소비할 것인지도 결졍해줍니다.

- 또한 시장가격은 희소한 자원을 가격이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옳기는 자원의 이동을 가져옵니다.

2. 수요, 공급과 가격 결정

- 상품의 가격은 생산다들의 생산비를 반영한 공급과 소비자들의 효용을 반영한 수요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 따라서 소비자들의 생각이 바뀌어서 구요가 변하거나 생산자들의 생각이 바뛰어 공급이 변하면 가격도 변하게 됩니다.

- 즉, 공급이 감소하거나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공급이 등가하거나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은 하락합니다. 

내용

경제이야기 따라잡기(중학생)
1. 희소성과 선택 그리고 기회비용
2. 분업과 교환          
3. 완전경쟁시장과 가격  
4. 수요 및 공급의 변화  
5. 바람직한 선택 - 직업 
6. 바람직한 선택 - 저축 
7. 바람직한 선택 - 소비 
8. 생산의 주체 - 기업   
9. 생산요소 투입과 소득분배
10.독과점시장           
11.독과점 폐해와 대응   
12.불완전한 시장기능을 대신하는 정부
13.커지는 정부와 나라살림
14.화폐와 통화량        
15.금융과 이자율                        
16.국민경제의 순환과 성장               
17.경제문제 - 인플레이션                
18.경제문제 - 실업                      
19.통화정책과 재정정책                  
20.국제무역                             
21.수ㆍ출입과 국제수지                  
22.환율                                 
23.우리경제의 회고와 전망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경제교육실 경제교육기획팀
전화번호
02-759-4269, 5325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