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동영상 Ⅰ_5. 펀드밴드와 함께

등록일
2016.04.16
조회수
12963
키워드
펀드
담당부서
경제교육기획팀
첨부파일

자막

나레이션: 언제나 아름다운 교정을 자랑하는 배우미 중학교. 따사로운 햇살을 한가로이 즐기는 학생들이 교정에 즐비하다. 사총사 역시 햇살을 즐기는가 했는데, 어째 표정들이 영 심상치 않고….

세나: 우리 캠핑을 갈 수 있을까? 지금 얼마나 있어?

송이: 총 40만원.

세나: 필요한 게 80만원이지?

송이: (끄덕끄덕)

재민: 음, 부모님께 부탁드리는 건 우리 체면에 아니지?

강호: 아르바이트를 할까?

세나: 알아봤는데 요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별로 없더라구.

강호: 음, 어떻게 하지?

재민: 어떻게 하지?

강호: 그 돈으로 투자를 해 볼까?

재민: 투…자?

송이: 맞아! 우리 이모도 주식투자, 펀드투자라고 하면서 여윳돈으로 투자해서 돈을 불려나가고 있어.

모두: 투자…라….

세나: 근데 투자는 어디서 해야 해?

송이: 그건…… 어디서 하지?

학생1: 야, 지금 출발한대.

세나: 어?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됐나?

강호: 어서 가자

나레이션: 해누리나라 직업 박람회. 참여한 직업군만도 무려 500여 가지가 넘고, 인원마도 천여명. 어느새 부족한 캠핑 자금도 잊은 듯 다양한 직업군에 놀라는 사총사…. 하지만?! 그들 앞에 나타난 단어, 이름하야 ‘투자’. 사총사, 뭐에 홀린 듯 펀드 매니저 코너에 들어가는데….

펀드매니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재민: 여기서 투자 하나요?

펀드매니저: 아니요. 여기선 투자를 하지 않습니다.

강호: 여기도 아닌가보다

펀드매니저: 하지만 투자에 관해서 설명해 줄 수 있어요.

세나: 정말요?

재민: 정말 투자에 대해서 알려줄 수 있어요?

강호: 우리가 투자를 하고 싶은 것은요.

송이: 캠핑가려고 하는데, 돈이 모자라요. 도와주세요!

펀드매니저: 여러분, 잠시만!!! 시간을 충분히 줄 테니까 차근차근 물어보세요. 우선 여기 앉으세요. 자, 왜 투자를 하려고 하는지 말해 줄 수 있어요?

송이: 내년에 캠핑을 가려고 하는데요. 예산을 측정해보니까 한 80만원정도 들더라구요. 그래서 그동안 아르바이트도 해보고, 부모님께 용돈 받은 것도 아껴서 모았는데 40만원 밖에 안 되는 거예요.

세나: 그런데 아르바이트도 학교를 다녀야 해서 제약도 많고, 부모님께 용돈을 더 달라고 하기에는 쩜….

펀드매니저: 자존심이 상한다는 거죠?

사총사: (끄덕끄덕)

펀드매니저: 그래서 투자를 생각했어요?

송이: 이모가 여윳돈으로 투자를 하는 것을 보니까 생각나서… 저희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는데….

펀드매니저 : 이모가 무엇에 투자를 하고 있죠?

송이: 해삼전자 주식하고 멍게자동차 주식하고 뭐 그런거….

펀드매니저 : 흠, 이모가 직접 투자할 주식을 골라서 투자하고 있는 거군요. 그걸 보고 ‘직접투자’라고 하죠!

강호: 아하, 투자자가 직접 주식에 투자하니까, 직접투자! 그럼 투자자가 직접 하지 않는 투자도 있나요?

펀드매니저: 물론이죠. 그걸 보고 간접투자라고 하죠. 그런데, 아저씨는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 매니저라고 하는데, 펀드가 뭔지 알아요?

사총사: …….

강호: 간접투자랑 펀드가 무슨 관계가 있는 거죠?

펀드매니저: 자, 그럼 펀드가 무엇이고 아저씨같은 펀드 매니저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알려줄게요.

사회자: 여러분 투자를 아십니까? 그 중에서도 펀드 투자가 무엇인지 아십니까? 지금부터 펀드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 지금부터 차차차 펀드밴드의 멋진 무대를 보시겠습니다.

노래: 라라라라 랄랄라 우리는 펀드 매니저! 라라라라 랄랄라 사람들 대신 투자해. 간접투자. 간접투자.

싱어1: 직접 투자하기 힘드시죠? 정보도 수집해야 하고.

싱어2: 돈이 적어서 여러 주식에 투자하기도 어렵죠?

싱어3: 펀드는 여러 사람의 돈을 모아 큰 돈을 만듭니다. 여러 곳에 나누어 투자해서 위험도 줄입니다. 펀드매니저가 투자자 여러분 대신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투자를 해서 그 수익을 여러분께 돌려주지요.

노래: 랄랄랄라 랄랄라 걱정 마세요. 랄랄랄랄 랄랄라 간접투자! 펀드투자!

싱어1: 여유자금, 펀드에 투자하세요.

싱어2: 전문가가 관리해주니까 더 안심이 되죠.

싱어3: 펀드하면 간접투자, 간접투자하면 펀드죠.

펀드매니저: 어때요? 이제 좀 알겠어요?

송이: 그런데 어디에 투자를 해요?

펀드매니저: 아, 그건 말이지….

싱어1: 각 선수를 소개합니다. 먼저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주식형펀드! 다음으로 채권에 주로 투자하는 채권형펀드!

주식형펀드 방청객: 주식형! 주식형! 아자! 아자!

채권형펀드 방청객: ......

싱어1: 네, 지금 두사람 모두 열심히 하고 있는데요. 주가지수가 올라가면서 주식형펀드 빠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방청객들도 주식형펀드쪽으로 많이 옮겨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채권형펀드는 많이 올라가지 못하고 있네요. 하지만 채권형펀드는 비교적 안전한 채권에 투자하여 내려갈 위험은 그렇게 크지는 않다고 합니다. 아니 이게 웬일입니까? 국제원유가격이 폭등하면서 갑자기 주가가 폭락, 주식형펀드가 출렁 내려오고 말았습니다. 네, 반면 채권형펀드는 아주 조금씩 천천히 올라가고 있군요. 아, 여기서 일부 주식형펀드 방청객이 채권형펀드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아마 더 이상 손실을 보지 않겠다는 전략인 거 같은데요. 나중에 주식형펀드로 옮겼던 방청객들은 약간 손해를 본 상황입니다. 아, 주식형펀드 다시 회복되나 봅니다. 방청객들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는…. 어어어, 아니 이런, 지난해부터 우리 기업의 수익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뉴스가 알려지면서 주가가 다시 폭락, 이제 주식형펀드는 출발선 아래까지 내려와 원금도 일부 까먹게 되었습니다. 방청객들 ‘차라리 은행예금에 들 걸’ 이라는 탄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은행예금에 들면 최소한 원금은 안 까먹으니까요.

주식형펀드 방청객 : 끄응.

싱어1: 네, 주식형펀드가 내려오는 사이 채권형펀드는 어느새 많이 올라갔군요.

채권형펀드 방청객 : 야호!!!

싱어 1: 하지만 채권형펀드도 방심할 수 없습니다. 금리가 갑자기 올라가거나 채권을 발행한 회사가 부도가 나면 채권형펀드도 출발선 아래로 떨어져 원금을 까먹을 수도 있습니다.

채권형펀드 방청객 : 채권형! 채권형! 아자! 아자!

싱어1: 지금 스튜디오는 응원의 열기로 가득한데요.. 주식형 펀드, 다시 주가지수가 오르기 시작하면서 전열을 가다듬고 있습니다. 채권형펀드도 금리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전략을 새로이 하고 있습니다. 아, 안타깝지만 정규방송 때문에 여기에서 중계를 마쳐야 하겠습니다. 최종 결과는 9시 펀드가뉴스에서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청자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펀드매니저: 어때요? 이제는 확실하게 알겠죠?

재민: 아, 여러 사람의 돈을 모아 펀드를 만들고….

송이: 펀드매니저가 대신 투자를 해 주는 거군요. 그래서 ‘간접투자’라고 하구요.

강호: 주식에 주로 투자하면 주식형펀드.

세나: 채권에 주로 투자하면 채권형펀드.

강호: 주식형펀드는 주가가 오르면 이익이 커지고.

세나: 채권형펀드는 금리가 내리면 이익이 커지고.

강호: 주식형펀드는 좀 더 위험한 대신 수익이 더 크고.

세나: 채권형펀드는 좀 더 안전한 대신 수익이 조금 낮고.

펀드매니저: 하하하, 정말 잘 알고 있네요. 한 가지 더 알려줄게 있는데, 펀드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은행에 가서 정기적금하는 것처럼 일정기간동안 적립하고 만기에 목돈을 찾는 펀드도 있어요. 바로 적립식펀드라고 해요.

송이: 어, 정말요?

펀드매니저: 그럼요. 적립식펀드는 정기적금처럼 같은 금액을 매달 넣으니까, 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것의 영향을 덜 받고 좀 더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거죠.

송이: 야 그러면, 우리가 내년까지 매달 용돈을 모아서 정기적금처럼 부어도 되겠네.

펀드매니저: 물론이지요. 자, 그럼 우리 어떻게 투자할지 함께 고민해볼까요?

재민, 송이, 강호: 네!

세나: 아니요!

펀드매니저: 예!?

재민: 아직도 몰라?

세나: 한번 더 공연을 보여주면 펀드 투자를 이해 할 수 있어요. 한번 더 보여주세요. 

내용

경제동영상 Ⅰ               
1. 프롤로그
2. 합리적인 소비, 돈 잘 쓰기
3. 주식을 파헤쳐라
4. 채권나라 탐험
5. 펀드밴드와 함께
6. 신용, 내 인생이 달려있다
7. 신용카드들의 넋두리
8. 국민소득을 찾아서
9. 인플레이션 캠프
10.미션, 실업 해결
11.세금, 국민의 의무
12.비교우위의 마법!
13.라이프사이클과 금융
14.나의 장기 생활설계
15.에필로그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경제교육실 경제교육기획팀
전화번호
02-759-4269, 5325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