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중은이 : 장난감, 멋진 옷, 신발.. 다 가지고 싶은데… 가지고 싶은 것을 다 가질 수는 없을까?
한은이 : 너는 정말 욕심꾸러기구나!!
중은이 : 내가 욕심꾸러기라고? 그럼, 누나는 가지고 싶은 것이 하나도 없단 말이야?
한은이 : 글쎄..나도 가지고 싶은 거야 많지…
선생님 : 안녕하세요? 21일간의 경제여행 두 번 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우리는 왜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여행을 시작해 볼까요?
선생님 : 중은이는 장난감, 신발, 옷 등을 사달라고 부모님을 자주 조릅니다. 그럼 중은이만 이런 욕심을 갖고 있을까요? 사람은 누구나 한 개를 가지면 한 개를 더 갖고 싶어 합니다. 이처럼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많은 것을 가지려고 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자신의 욕구를 모두 다 채우면서 살 수 있을까요? 그럴 수 없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가지기 위해서는 돈을 내야 하는데 돈을 무한정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원하는 것을 모두 다 가질 수는 없습니다. 이처럼 내가 쓸 수 있는 돈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필요하거나 갖고 싶은 것부터 선택해서 사야 합니다
선생님: 중은이는 1000원을 가지고 근처 가게로 뛰어갑니다. 가게에는 맛있는 것들로 가득 차 있지만 유별나게 사탕과 과자가 눈에 띕니다. 가격을 보니 사탕도 1000원이고 과자도 1000원입니다. 중은이는 사탕과 과자를 둘 다 살 수 없으며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중은이가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둘 다 사기에는 돈이 희소하기 때문입니다.
중은이 : 잠잘 시간까지 1시간 남았네.. 숙제를 해야 할까? 아니면 게임을 할까? 1시간이면 둘 중에 하나밖에 못하는데…
선생님 : 보시는 것처럼 중은이는 주어진 시간이 희소하기 때문에 숙제와 게임 가운데 한 가지만을 선택해서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모든 사람은 누구나 하루에 24시간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은이처럼 누구나 제한된 시간내에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일을 선택해야만 합니다.
선생님 : 이처럼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자원의 희소성 때문입니다. 돈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돈으로 무엇을 살 것인지를 선택해야 하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시간에 무엇을 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중은이 : 좋아! 이 돈으로 과자를 사먹겠어!
선생님 : 중은이는 1000원을 가지고 과자를 사먹기로 결정했군요. 사탕과 과자를 먹을 수 있는 기회 중에서 과자를 먹는 기회를 선택한 것입니다. 이제 중은이는 과자를 사 먹기로 선택함으로써 사탕을 먹을 때 느낄 수 있는 만족감을 포기해야 합니다. 이처럼 여러 가지 기회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하면 다른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해야 하는데 이 때 포기한 기회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중은이가 과자를 선택했을 때의 기회비용은 사탕을 먹음으로써 느낄 수 있는 만족감입니다. 만약 중은이가 사탕을 선택했다면 기회비용은 과자를 먹음으로써 느낄 수 있는 만족감이 될 것입니다.
선생님 : 여러분은 ‘시골쥐와 서울쥐' 이야기를 잘 알고 있죠? 서울에 온 시골쥐는 서울쥐가 살고 있는 으리으리한 집과 예쁜 가구와 맛있는 음식에 반해 자기도 시골을 떠나 서울에서 살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에서는 사람이나 고양이에게 잡힐까 봐 불안해서 음식도 제대로 먹을 수 없었고 잠도 편안하게 잘 수 없었습니다. 마침내 시골쥐는 서울에서 사는 것을 포기하고 시골에서 살기로 선택했습니다. 이 선택에서도 예외 없이 기회비용이 발생합니다. 시골쥐는 서울에서 살 수 있는 것과 시골에서 살 수 있는 것 중에서 시골에 사는 것을 선택하였습니다. 따라서 시골쥐는 서울에서 사는 것의 가치를 포기하였습니다. 포기한 서울에 사는 것의 가치는 좋은 집과 맛있는 음식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서울에 사는 것이 기회비용이 되는 것입니다.
선생님 : 이 세상 누구나 선택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여러분도 지금까지 많은 선택을 했을 것이며 앞으로도 수많은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선택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어떤 선택을 하든지 기회비용이 드는데 이 때 기회비용이 작은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살펴 본 것처럼 선택을 할 때마다 기회비용은 그림자처럼 반드시 선택과 함께 발생합니다. 우리가 그림자를 떼어놓을 수 없는 것처럼 선택할 때 기회비용을 피할 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기왕에 하는 선택이라면 기회비용을 가장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쟁반퀴즈방,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다음 중 선택을 올바르게 한 것은?
① 기회비용이 큰 것을 선택한다.
② 기회비용이 작은 것을 선택한다.
③ 기회비용과 올바른 선택과는 상관이 없으므로, 선택을 할 때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④ 물건을 살 때는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선택을 하고, 시간과 관련된 선택을 할 때는 기회비용이 큰 것을 고른다.
Q2. 다음은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① 사람들의 욕구는 무한하다. 그러므로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자원이 항상 충분하지 않다.
②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선택의 문제가 반드시 발생한다.
③ 돈이 부족하다는 말은 자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④ 시간은 눈에 보이는 자원이 아니므로 시간과 관련한 선택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Q3. 다음은 기회비용에 대하여 한은이와 중은이가 나누는 대화의 내용입니다.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일가요?
① 한은이 : 기회비용은 우리들이 물건을 고를 때만 발생하는 것이기 대문에 기업처럼 물건을 만드는 사람들에게는 기회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② 중은이 : 물건을 고를 때 우리가 선택을 하게 되면 반드시 포기하는 게 생기지. 이때 기회비용이 발생하는거야
③ 한은이 : 기회비용을 항상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건 아니야
④ 중은이 : 하지만 사람들마다 나름대로 자산의 주관적인 측정기준은 있어.
1. 왜 선택해야 하나요?
- 희소하기 때문에 선택해야 해요
- 돈이 희소하기 때문에 가장 필요한 것을 선택해야 해요
2. 기회비용이 무엇인가요?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
- 선택을 할 때 포기하는 것을 기회비용이라고 해요.
- 기회비용이 작은 것을 선택해야 해요.
내용
1. 경제를 왜 알아야 하나요?
2. 우리는 왜 선택을 해야 하나요?
3. 재화와 서비스가 무엇인가요?
4. 생산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5. 인적자본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6. 더 많이 생산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7. 저축은 왜 해야 하나요?
8. 저축은 어떻게 하나요?
9. 주식투자는 어떻게 하나요?
10.어떻게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요?
11.신용이 왜 중요한가요?
12.왜 돈을 사용해서 거래를 하나요?
13.돈을 무엇으로 만드나요?
14.시장과 보이지 않는 손
15.가격은 누가 결정하고 왜 변하나요?
16.기업은 왜 경쟁하나요?
17.무역을 왜 하나요?
18.꼭 국산품을 사야 하나요?
19.국가는 왜 세금을 걷나요?
20.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
21.실업이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