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논문 투고 절차

신규투고

  • 투고시 원고(국문, 영문 논문 모두 가능), CV(영문성명, 소속기관, 전화번호 포함)를 eaeri@bok.or.kr로 제출하여 주시고 교신 저자를 지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신규 투고시에는 원고 형식에 대하여 엄격한 형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PDF, 한글 또는 MS-word 등 자유로운 방식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초록(Abstract), 키워드(Keywords), 서론(Introduction), 방법론(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 등 논문에 필수적인 내용은 포함되어야 합니다.

결과통보

  • 투고논문은 전문가 2인 이상의 심사를 거쳐 게재가능(Accept), 수정 후 재심사(Revise and Resubmit), 게재불가(Reject)로 분류하여 교신저자에게 그 결과를 안내하며, 결과 통보는 통상적으로 투고일로부터 6주 내외가 소요됩니다.
  • 심사결과를 투고일로부터 3주 이내에 받기를 희망하는 경우 투고시 신속심사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속심사제도 이용을 희망하시는 경우 투고시 메일제목에 "[신속심사 요청]"을 기재하여 주시고 그 사유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편집위원이 신속심사 적용을 결정하면 해당 논문에 대한 신속심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 경우 한국은행 앞으로 20만원의 신속심사 수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 논문의 최종 게재 여부 및 게재 시기는 「경제분석」 편집위원회가 결정합니다.

수정논문 제출

심사결과에 따라 수정된 논문을 제출할 경우 다음의 형식에 따라 원고를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원고의 글씨 크기는 한글(HWP) 기준 본문 11, 각주 9로 하며 행간은 150으로 설정
  • 원고의 첫 장은 제목, 저자명, 초록*, JEL Classification Number, 핵심주제어** 등을 포함하여 1장 이내로 작성
    * 본문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국문초록은 400자, 영문초록은 200단어 내외로 작성.
    ** 초록 하단에 5~6개 정도를 선정하여 기재
  • 초록에 교신저자, 각 저자의 소속, e-mail 주소, 전화번호 표기
  • 영문초록 작성(JEL Classification, Keywords도 표시): 각주에 저자 설명* 포함
    *Corresponding Author, 소속, 연락처
  • 본문의 장절구분은 I, 1, 가, (1), (가)의 순으로 하며, 본문 및 각주는 완전한 문장형태로 작성
  • <표>, <그림>은 논문의 뒤편에 일괄 수록하지 않고 본문 중 내용과 연관되는 곳에 삽입하되 일련번호는 장절구분 없이 부여하며, 제목과 내용, 주석 등을 영문으로 표기(,
    )
  • 특히 모든 Figure 및 Table에 반드시 Note(s)를 달아 변수 및 그래프의 대략적인 내용을 영어로 한두 줄 설명하고 Figure나 Table은 해당 페이지의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오도록 배치
  • 또한 전치사(of, in 등)와 관사(an, the 등)를 제외한 모든 Figure 및 Table 제목의 각 단어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시 (예시) “Number of safe choices”⇒“Number of Safe Choices”
  • <수식>과 본문의 변수는 이탤릭체로 표기하며, <수식>의 일련번호는 장절구분 없이 부여하여 우측 끝에 정렬
  •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문헌을 수록하며, 저자명을 기준으로 동양문헌의 경우 가나다순, 서양문헌의 경우 Family Name의 알파벳순으로 배열
  • 저자명, 연도, 논문명, 서명, 호, 발행처, 인용 쪽의 순으로 기재하며 이중 논문명은 “ ”로, 서명은 동양문헌의 경우 이중꺽쇠『 』, 서양문헌의 경우 이탤릭체로 표기(서양문헌 중 저널과 책자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되 Working Paper는 완성된 문헌이 아니므로 이탤릭체가 아닌 로만체로 표기하고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
  • 논문명의 각 단어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고, 논문명이 물음표로 끝날 경우 쉼표를 생략

  • (참고문헌 작성예시)
    • 최요철 (2002), “우리나라 수출과 성장 간의 관계 분석,”『경제분석』제8권 제3호,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pp. 43-75.
    • Bernanke, B. S. and A. S. Blinder (1988), “Credit, Money and Aggregate Demand,”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8(2), pp. 435-439.
    • Ellison, G., and E. L. Glaeser (1999), “the Geographic Concentration of Industry: Does Natural Advantage Explain Agglomer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9(2), pp. 311-316.

    저작권 관련 규정 사항

    • 모든 저자들은 본 논문이 『경제분석』에 게재될 경우, 본 논문에 따른 저작권 및 디지털 저작권을 포함한 모든 권한행사(복사·전송권포함)를 한국은행에 양도해야 하며, <붙임>저작권양도합의서 ( 첨부파일 있음 ) 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모든 저자들은 『경제분석』에 게재된 논문을 강의실 교육, 개인적 용도 등 비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저작물, (전자)인쇄물 등의 첫 페이지에 저자명, 게재연도, 논문제목, 저널명(경제분석), 게재 권호수, 게재 페이지 등 논문의 온전한 출처를 명기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는 한국은행의 승인은 별도로 받지 않아도 된다.

    연구윤리 준수사항

    •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허위로 만들어 내거나 연구결과를 임의로 왜곡하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는다.
    •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 내용, 연구 결과 등을 도용 또는 표절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타인의 연구결과를 인용하는 경우 그 출처를 밝힌다.
    • 연구수행에 기여하지 않은 자에게 예우 등을 이유로 감사의 글(Acknowledgement)를 표시하지 않으며 논문저자의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연구윤리규정 전문 ( 첨부파일 있음 )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논문 송부 및 문의

    논문 송부 및 문의처
    주소 (04531)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한국은행 별관 15층 경제연구원 연구조정실
    전화 (02)759-5490
    팩스 (02)759-5410
    email eaeri@bok.or.kr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