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여성 및 고령자 고용확대를 중심으로

등록일
2023.09.30
조회수
21328
키워드
인구변화 고령화 고용 정책 산업별 고용인력 여성 및 고령자 고용확대
등록자
김혜진, 정종우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90)

저자: 김혜진(한국은행), 정종우(한국은행)


<요약>

 본고는 인구구조 변동으로 인한 국내 노동시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장래추계인구, 지역별 고용조사를 이용하여 향후 10년 동안의 산업별 고용인력 변동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업에서의 취업자는 증가하는 반면 제조업 취업자가 감소했고 특히 저숙련 제조업에서 감소폭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장기적인 노동인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인력의 노동 투입 방안이 제기되는 가운데, 경력단절 비중이 높은 30~44세 여성 인력의 고용 촉진 정책은 향후 고숙련 서비스업 고용인력을 기존 추정치 대비 약 38만 명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인력 확대정책의 경우 고숙련 제조업에서의 인력 이탈을 막고 (기존 추정치 대비 4만 명 감소에서 3만 명 증가로 변화) 저숙련 서비스업에서의 고용 증대(기존 추정치 대비 68만 명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