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22-20호] 통화정책 충격이 생산과 물가에 미치는 효과의 국가별 차이 및 결정요인

주제 : 통화
모형연구팀(02-759-4177) 2022.12.30 7547

제목 : 통화정책 충격이 생산과 물가에 미치는 효과의 국가별 차이 및 결정요인

저자 : 임근형(조사국 모형연구팀), 나승호(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오다운(금융결제국 결제정책팀)


<요약>

 본 논문은 주요 19개국을 대상으로 통화정책 충격이 생산과 물가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그러한 차이가 어떤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지를 부호제약 구조VAR 모형과 2단계 회귀분석, 그리고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조VAR 분석 결과 동일한 크기의 통화정책 충격이 생산 및 물가에 미치는 효과에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수 국가에서 25bp 금리 인하 충격 발생 시 산업생산이 최대 1~2% 증가하는 가운데 3% 넘게 증가하는 국가부터 유의하게 감소하는 국가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물가 역시 최대 반응 기준 평균적인 상승폭은 0.9% 수준이었으나 2.0% 가까이 상승한 국가부터 상승폭이 0.3%에 그친 국가까지 폭넓게 존재했다. 일부 국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는 반응까지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이와 같은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반응의 차이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의 경우 통화정책 체계가 물가안정목표제에 가까울수록, 환율제도가 변동환율제에 가까울수록, 인구고령화 진행이 빠를수록, 노동시장 경직도가 높을수록 반응이 확대되었고 중앙은행이 독립적일수록, 자본시장 발전도가 높을수록 동 반응이 축소되었다. 물가의 경우 통화정책 체계가 물가안정목표제에 가까울수록, 인구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반응이 축소되었고 무역의존도와 노동시장 경직성이 높을수록 확대되었다. 아울러 간단한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을 이용하여 통화정책 운영체계, 무역개방도, 노동시장 경직성이 통화정책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 결과 실증분석이 시사하는 바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with a sample of 19 countries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monetary shocks on outputs and prices between countries, and, if any, which country characteristics incur such differences using sign-restricted VAR, second-stage regression, and small open economy DSGE model. Sign-restricted VAR analysis shows that monetary policy shocks with the same magnitude generat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erms of the effects on outputs and prices. The maximal responses of industrial production indexes to a 25-basis-point shock policy rate cut range from a significant decrease to an over 3 percent increase with an average of about 1 to 2 percent increase. Those of consumer price indexes range from a 0.3 percent increase to around a 2 percent increase with an average of a 0.9 percent increase, but some countries exhibit price puzzles in the long-run horizons.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imply that various country characteristics engender disparities in the responses to monetary policy shocks. The size of the output responses to monetary policy shocks is larger in countries with a monetary policy framework closer to inflation-targeting, a more flexible exchange rate regime, more rapid population aging, and a more rigid labor market, and is smaller in countries with a more independent central bank and a more developed capital market. The size of the price responses is larger in countries with higher trade openness and a more rigid labor market, and smaller in countries with a monetary policy framework closer to inflation-targeting and more rapid population aging. Furthermore, the results from the small open economy DSGE model which we use to check whether a monetary policy framework, trade openness and labor market rigidity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shocks largely correspond to those of the regression analysis.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