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회복 과정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들은 빈일자리가 늘어나고 실업률이 하락하는 등 노동시장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국가별 노동수급 상황의 이질적인 특성도 관찰된다. 본고는 주요국 노동수급 상황의 이질적인 특성이 임금 및 물가 상승압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주요국 상황과 비교해보면 한국은 노동공급을 제약하는 구조적인 요인이 크지 않은 데다 고용비중 및 가격전가율이 높은 서비스업에서 노동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이로 인해 노동수급 상황에 기반한 임금 및 물가상승 압력 및 지속성이 미국 등 주요국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구체적으로 한국과 미국 간 상이한 노동공급 양상은 경기적 요인보다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국은 팬데믹 이전부터 지속되어 온 노동공급 감소의 영향으로 임금상승 압력이 높아졌으나, 한국은 빠른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고령층 및 여성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참가율 상승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노동공급 부족 문제에 직면하지 않았다.
또한 산업별 노동수요 측면에서 한국은 고용 비중과 가격전가율이 높은 서비스업에서 노동수요 증가가 상대적으로 완만하여 노동시장 tightness가 임금 및 물가에 미치는 압력이 주요국에 비해 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우리나라도 고령화가 노동공급을 제약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노동공급이 구조적으로 감소하면서 임금 동학에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장기 시계에서 노동공급 확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