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들어 고용증가 규모가 2003년 이후 5년만에 가장 낮은 20만명 이하로 축소되는 등 고용사정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최근 고용부진의 주요 특징으로는 청년과 고령층, 임시 일용직, 건설 서비스 부문 소기업 종사자 등 주로 취약계층의 고용사정이 크게 악화되어 고용 양극화가 재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고용부진에 대한 대책으로 경기적 고용둔화를 완충하기 위한 각종 고용개선 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구조적 요인으로 인한 고용부진을 완화할 수 있도록 각 부문별 특성에 맞춘 다양한 고용촉진 대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Ⅰ.최근 고용동향
Ⅱ.고용부진의 배경
Ⅲ.정책과제
<붙임 1> 우리나라의 고용정책 변천과정
<붙임 2> 여성 및 고령자 고용정책 추진 현황
<붙임 3> 청년층 고용정책 추진 현황
<붙임 4 > 주요국의 청년고용 촉진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