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학생: 아우 ~ 목말라!! 음료수 마셔야지!
허어어억 가격이 또 몰랐잖아 어젠 분명 1000원이었는데 왜 2000원이 된 거지
허억
경제니: 인.플.레.이.션
학생: 뭐?
경제니: 가격이 오른거 말이야 인플레이션 때문이라고!
학생: 아 근데 누구세요?
경제니: 난 경제니! 경제의 요정이지
학생: 오~ 경제요정~~ 그럼 인플레이션이 뭔지 알려 주라
경제니: 인플레이션이란 물가상승률이 0보다 커서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걸 말해
학생: 아 맞다 사회시간에 배웠어 그러니까 물가가 올라서 내가 가진 돈의 가치가 떨어진 거구나
그럼 인플레이션은 왜 생기는거야!! 나 음료수 사먹고 싶은데..
경제니: 먼저 물가란 한 나라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수준을 말해
이걸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성된 걸 물가지수라고 해
물가지수는 소비자를 위한 소비자물가지수와 기업들을 위한 생산자물가지수로 나눌 수 있어
이 물가지수를 측정하려면 실질 GDP와 명목 GDP를 알아야 해
명목 GDP와 실질 GDP의 비율에 100배을 곱하면 GDP 디플레이터라는 물가지수까지 구할 수 있지
그러면 물가지수를 통해서 대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경기가 상승할 때는
수요가 증가해서 물가가 상승하고 반대로 경기가 하락할 때 수요가 감소해서 물가가 하락해
일정기간 동안 물가지수가 상승한 정도를 물가상승률이라고 해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률이 0보다 커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고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물가상승률이 0보다 작아서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태를 말해
여기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한 개념이 있는데 이건 인플레이션이지만
그 상승수준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거야
물가가 오르면 사람들의 실질적인 구매력은 하락해
반대로 물가가 낮아지면 사람들의 구매력은 올라가지
인플레이션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어
가격이 올랐다는 건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했거나
아니면 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했다는 거지
먼저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해
기업이나 정부의 지출이 상승해서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거지
반대로 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움직이는 건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이라고 해
기업의 생산비나 생산요소의 가격 혹은 임금이 인상되는 경우에 가격이 올라가는 거지
하지만 어쨌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플레이션에 가장 큰 원인은 통화량의 증가야
통화량이 재화와 서비스의 양보다 많으면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상승해서 물가가 오르는 거지
그래서 유명한 경제학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에 관한 현상'이라고 말했어
그렇다면 통화량은 왜 자꾸 증가하는 걸까?
이걸 인플레이션 조세 라고 하는데 바로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때문이야
재정 지출은 자꾸만 증가하는데 세금이나 차입으로 돈을 끌어올 수 없는 정부가
비교적 쉬운 원인인 인플레이션으로 돈을 끌어오는 거지
인플레이션은 사회의 여러가지 손실을 가져와
먼저 소득분배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금융자산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부동산같은 실물자산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해
게다가 빌린 돈의 가치가 자꾸 떨어지니까 채권자는 불리하고 채무자는 유리하게 되지
두번째로 자원배분 실질가치가 상승하는 부동산 쪽으로
자원이 자꾸만 유입되면서 자원 배분이 왜곡돼
게다가 기업이나 가계 같은 경제 주체들이 장기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지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은 자원배분과 소득배분을 왜곡해서
국가 전체의 경제를 왜곡하는 거야
이제 알겠어??
학생: 음..개념은 이해가 되는데 사실 아직 잘 모르겠어
경제니: 그렇다면 직접 경험해 보는 수 밖에..
인플레이션이여 와라!!
(배고파 목말라 왜 이렇게 비싸 으으)
먼저, 생활수준이 하락해
(이거를 넣어야 돼, 말아야 돼 왜 이렇게 비싸)
경제 주체들은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겠지
(아흐~ 모르겠다.. )
아 맞다 야 너 저번에 나한테 천원 빌려서 음료수 사갔잖아 언제 갚을거야?
자 여기 천원!
오 예쓰! 음료수 사먹어야지!
히익.. 뭐야 지금 가격이 올라서 천원가지고 아무것도 못 사먹잖아?!
채권의 가치는 허락할 거야
(2000원이요)
다음으로 메뉴판을 바꾸면서 메뉴비용이 발생하게 돼
헉! 어.. 어.. 2000원
(3000원~~)
아아아악 안돼 돈이 없어..
사람들은 가치가 떨어지는 화폐 보유를 줄이기 위해서 거래비용인 구두창비용을 들이게 되지
경제니: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오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거지
학생: 헉.. 우리학교가 왜 이렇게 된 거야 나.. 돌아갈래!!!!
학생: 헉 꿈이었잖아! 우리학교가 이렇게 되게 내버려 둘 수 없어!! 안돼!!!!!
인플레이션의 해결책이 뭐지??!!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첫 번째, 정부가 정부지출 삭감 등의 과감한 재정개혁을 실시하는 거야
두 번째, 화폐발행 을 책임지고 있는 중앙은행의 정치적 독립성을 보장하는거야
나도 이제 인플레이션 전문가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