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엄마 : 배추 가격도 올랐고 생선 가격도 올랐네. 돈의 가치가 갈수록 떨어지니 큰일이야.
한은이 : 돈의 가치가 떨어져요? 돈은 그대로인데 돈의 가치가 왜 떨어져요?
엄마 : 한은이 손에 1만 원이 있다고 생각해 봐라. 지금 1만 원을 가지고 1000원짜리 과자를 몇 개 살 수 있니?
한은이 : 그거야 당연히 10개죠.
엄마 : 그래 맞았다. 그런데 과자 가격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랐다고 생각해 봐라. 그러면 이제 1만 원으로 과자를 몇 개 살 수 있니?
한은이 : 음~. 5개요.
엄마 : 그래. 한은이가 갖고 있는 1만 원은 그대로인데 과자 가격이 올랐기 때문에 그 돈으로 살 수 있는 과자의 개수가 줄었지. 이게 바로 돈의 가치가 떨어진 것이 아니고 뭐겠니?
한은이 : 아하!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수가 줄어드니까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하는 거군요.
선생님 : 안녕하세요? 21일간의 경제여행 스무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여행을 시작해 볼까요?
선생님 : 우리 나라에서 거래되고 있는 물건의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그리고 그 많은 물건들은 저마다의 가격을 갖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오른 물건도 있으며 가격이 내린 물건도 있기 마련입니다. 이들 물건 가격을 평균해서 가격이 오른 물건이 더 많으면 '물가가 올랐다.'고 말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내려간 물건이 더 많을 수도 있는데 이 때는 '물가가 내렸다.'고 말합니다.
선생님 : 이처럼 물건 한 개에 대해서는 ‘가격'이라고 말하지만, 많은 물건들의 가격을 종합해서 부를 때는 ‘물가'라고 말합니다. 물가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내려가는 경우보다 오르는 경우가 더 자주 발생합니다.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우리가 가진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들의 양이 줄어들므로 돈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산신령 : 중은아, 네가 평소에 부모님 말씀을 잘 듣고 심부름도 잘 했으니 내가 너의 소원 한 가지를 들어주겠다. 네 소원이 뭐냐?
중은이 : 돈이요. 저에게 돈을 많이 주세요
산신령 : 알았다. 여기 있다. 모두 가져라.
아빠 : 중은아! 그만 일어나라. 피곤했나 보구나. 낮잠 자면서 잠꼬대까지 하는 것을 보니.
중은이 : 아빠, 한국은행은 돈을 만들어낼 수 있잖아요?
아빠 : 그렇지.
중은이 : 그런데 왜 한국은행은 돈을 많이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지 않지요? 그러면 모든 사람들이 돈이 많아져서 기뻐할 텐데. 가난한 사람들도 당연히 좋아하고요.
선생님 : 물론 한국은행은 마음만 먹으면 돈을 얼마든지 발행해서 사람들에게 나누어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지 않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답을 말하기 전에 먼저 돈이 하는 일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까요? 사람들의 거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 돈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지금보다 2배나 많은 돈을 갖게 되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사람들은 물건들을 2배나 많이 사려고 할 것입니다. 즉 모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2배로 증가합니다. 그 결과 장난감 가격도 오르고 버스 요금과 컴퓨터 가격도 오릅니다. 우리 나라 물가가 2배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선생님 : 이제 한국은행이 돈을 마구 발행하지 않는 이유를 알겠지요? 한국은행이 돈을 많이 발행해서 우리에게 나누어주면 처음에는 모두 기뻐하겠지요. 그렇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돈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시중에 돈만 많아진다고 우리가 부자가 되거나 더 잘 살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모두 열심히 일해서 재화나 서비스를 더 많이 생산하고 수출을 많이 해야 진짜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은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양의 돈만 발행하고 있습니다.
쟁반퀴즈방,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옛날에 순둥이라는 왕이 있었습니다. 이 왕은 너무나 착해 백성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들어주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백성들은 돈을 마음대로 써보는 것이 소원이라고 왕에게 말했습니다. 그러자 순둥이 왕은 “그래, 까짓거 돈이야 마음대로 찍어내면 되지,” 라고 말하며 돈을 무한정으로 계속 찍어내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이 나라에서는 어떠한 일이 발생할까요?
①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②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③ 돈의 가치에는 변함이 없다.
④ 돈의 가치가 올랐다가 떨어진다.
Q2. 한은이는 선생님으로부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배웠습니다. 또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똑 같은 금액의 돈을 가지고 살 수 있는 물건의 양도 줄어든다고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매달 똑 같은 금액의 월급을 받고 있는 한은이의 아버지에게는 어떠한 일이 발생할까요?
① 같은 금액의 월급을 가지고 더 많은 물건들을 살 수 있다.
② 같은 금액의 월급을 가지고 더 적은 물건들을 살 수 없다.
③ 같은 금액의 월급을 가지고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에는 변함이 없다.
④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
Q3. 물가가 계속 올라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① 세금 ② 가격 ③ 인플레이션 ④ 실업
1. 인플레이션이 무엇일까요?
- 물가가 계속 올라가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해요.
2.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 돈의 가치가 떨어져요
3. 한국은행은 왜 돈을 많이 발행하지 않을까요?
- 돈을 많이 발행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해요.
- 따라서 한국은행은 물가의 안정을 위해서 적절한 양의 돈만 발행해야 돼요
내용
1. 경제를 왜 알아야 하나요?
2. 우리는 왜 선택을 해야 하나요?
3. 재화와 서비스가 무엇인가요?
4. 생산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5. 인적자본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6. 더 많이 생산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7. 저축은 왜 해야 하나요?
8. 저축은 어떻게 하나요?
9. 주식투자는 어떻게 하나요?
10.어떻게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요?
11.신용이 왜 중요한가요?
12.왜 돈을 사용해서 거래를 하나요?
13.돈을 무엇으로 만드나요?
14.시장과 보이지 않는 손
15.가격은 누가 결정하고 왜 변하나요?
16.기업은 왜 경쟁하나요?
17.무역을 왜 하나요?
18.꼭 국산품을 사야 하나요?
19.국가는 왜 세금을 걷나요?
20.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
21.실업이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