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간의 경제여행_15.가격은 누가 결정하고 왜 변하나요?

등록일
2008.12.01
조회수
21343
키워드
담당부서
경제교육기획팀
첨부파일

자막

엄마 : 여보, 큰일 났어요. 글쎄 시장에 갔더니 배추 가격이 또 올랐지 뭐예요? 김치를 담가야 하는데.

아빠 : 허허 참. 그런데 내가 갖고 있는 주식은 왜 오르지가 않는거지? 이제 오를 때가 됐는데.

한은이 : 도대체 가격을 누가 결정하길래 오르라는 것은 안 오르고 내려가라는 것은 안 내려가는 거지? 배추 가격이 내려가면 엄마가 좋아하실 테고 주식 가격이 오르면 아빠가 좋아하실 텐데……

선생님 : 안녕하세요? 21일간의 경제여행 열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가격은 누가 결정하고 왜 변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여행을 시작해 볼까요?

선생님 :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나 서비스에는 가격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 가격에 해당되는 돈을 지불하고 재화나 서비스를 삽니다. 그런데 누가 시장에 있는 수많은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일일이 정하고 있을까요? 정부일까요? 아니면 컴퓨터일까요? 모두 아닙니다. 어른들은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한다.’고 말합니다.

선생님 : 수요는 소비자들이 재화나 서비스를 사려는 것을 말합니다. 소비자들이 배추를 사려 할 때 ‘배추를 수요한다.’고 말합니다. 공급은 생산자들이 재화나 서비스를 팔려는 것을 말합니다. 생산자들이 배추를 팔려 할 때 ‘배추를 공급한다.’고 말합니다. 소비자들은 재화나 서비스를 될수록 싼 가격에 사고 싶어합니다. 이에 비해 생산자들은 될수록 비싼 가격에 팔고 싶어 합니다. 따라서 배추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들은 싫어하고 생산자들은 기뻐합니다. 만약 배추 가격을 정부가 결정하면 어떻게 될까요? 배추 가격을 올리면 생산자는 좋아하지만 소비자가 싫어할 것이며, 배추 가격을 내리면 소비자는 좋아하지만 생산자가 싫어할 것이기 때문에 정부는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한 채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 없습니다. 가격은 시장에서 물건을 사려는 소비자와 물건을 팔려는 생산자 사이의 힘겨루기를 통해 결정됩니다. 될수록 싸게 사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힘, 즉 수요와 될수록 비싸게 팔기를 원하는 생산자의 힘, 즉 공급이 서로 겨룹니다. 그러다가 소비자와 생산자가 동의하는 수준에서 가격이 결정됩니다. 결국 가격은 소비자와 생산자의 힘겨루기를 통해 적정한 선에서 결정됩니다. 이런 현상을 놓고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한다.’고 말합니다.

한은이 : 엄마, 지난주에 왔을 때만 해도 배 한 개에 2000원이었는데 오늘은 3000원이나 하네요? 왜 1주일 사이에 배 가격이 이렇게 올랐죠?

엄마 : 배 가격뿐이 아니다. 사과 가격도 많이 올랐고 생선 가격도 올랐단다.

한은이 : 엄마, 물건 가격이 왜 오르죠?

엄마 : 한은아, 생각해 보렴. 시장에 배가 있는데 배를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배 가격이 오르겠니 아니면 내리겠니?

한은이 : 오르겠죠.

엄마 : 그래, 그렇지.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오른단다. 추석 때에는 차례를 지내려고 배를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니까 배 가격이 오를 수밖에.

한은이 : 그러면 수요가 줄어들면 가격이 내리나요?

엄마 : 우리 한은이, 매우 똑똑하구나.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면 당연히 가격이 내려가겠지.

한은이 : 아하, 그래서 유행이 지난 옷은 가격이 싸구나. 그러면 장마철에 상추 가격이 오르는 것은 왜 그렇죠? 장마철이라고 사람들이 상추를 더 많이 먹는 것은 아니잖아요?

엄마 :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지? 장마철에 상추 가격이 오르는 것은 공급 때문이란다.

한은이 : 공급 때문이라고요?

엄마 :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오면 농부들이 상추를 시장에 내놓지 못하여 공급이 줄어들지. 시장에 상추가 적어지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

한은이 : 그야 사려는 사람이 그대로인데 상추가 적게 공급되면 가격이 올라가겠죠.

엄마 : 그래!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오른단다.

한은이 : 반대로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내리고요?

엄마 : 그렇지.

한은이 : 아하, 이제 중동 지역에서 전쟁이 나면 석유 가격이 오르는 이유를 알겠어요. 전쟁이 나면 석유 공급이 줄어드니까 그런 거죠?

선생님 :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수요가 변하거나 공급이 변하면 가격도 달라집니다.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반대로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내립니다.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내립니다. 반대로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엄마 : 한은아, 귤 가격이 지난주보다 올랐구나.

한은이 : 엄마, 그럼 오늘은 귤을 조금만 사요. 며칠 지나서 귤 가격이 내리면 그 때 많이 사서 먹어요.

엄마 : 그럴까? 한은이를 데리고 오길 잘 했는걸.

선생님 : 가격은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어떤 물건의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은 그 물건을 더 많이 사려고 할까요? 아니면 더 적게 사려고 할까요? 물건의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이 사려고 하는 양이 줄어듭니다. 한은이가 값이 오른 귤을 조금만 사려는 것처럼 말입니다. 사람들이 사려고 하는 양을 수요량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물건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줄어듭니다. 만약 물건 가격이 내리면 어떻게 될까요? 수요량이 늘어납니다. 이처럼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이 늘어나는 현상을 수요의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이제 여러분이 과자 회사의 사장이라고 해봅시다. 만약 과자 가격이 오른다면 여러분은 과자를 더 많이 팔려고 할까요? 아니면 더 적게 팔려고 할까요? 당연히 과자를 더 많이 팔려고 하겠지요? 기업이 물건을 팔려고 하는 양을 공급량이라고 합니다. 물건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어납니다. 이와 반대로 물건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줄어듭니다. 이처럼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어나고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줄어드는 현상을 공급의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한은이 : 아빠, 조류 독감이 발생했는데 왜 돼지고기 가격이 올라요?

아빠 : 한은아, 한번 생각해 보렴. 조류 독감이 발생하면 사람들이 닭고기나 오리고기를 더 많이 먹겠니 덜 먹겠니?

한은이 : 그거야 당연히 덜 먹겠죠. 지난번에 저희도 두 달 동안 닭고기를 먹지 않았잖아요.

아빠 : 그렇지. 그럴 경우 닭고기 대신에 돼지고기를 먹고 싶어하는 거란다. 그러면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겠지?

한은이 : 아하, 그렇구나.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니까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는 거구요.

선생님 : 이처럼 사람들은 어떤 재화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대신에 다른 재화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보고 ‘수요를 대체한다.’고 말합니다. 닭고기 수요를 줄이는 대신에 돼지고기 수요를 늘리는 것, 또는 반대로 돼지고기 수요를 줄이는 대신에 닭고기 수요를 늘리는 것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런 것을 보고 ‘닭고기와 돼지고기는 서로 대체 관계에 있다.’고 말하기도 하고 ‘닭고기와 돼지고기는 대체재’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꿩 대신 닭’이란 속담의 뜻을 잘 알고 있지요? 이 속담처럼 사람들이 어떤 재화 대신에 소비하는 다른 재화를 대체재라고 합니다. 이처럼 비싸진 재화를 덜 소비하고 대신 싼 재화를 더 소비함으로써 사람들은 지출하는 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세상에 대체재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소비하는 재화를 바꿀 수 없어 불편할 뿐 아니라 돈도 많이 들어갈 것입니다.

쟁반퀴즈방,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한은이는 설을 앞두고 어머니와 함게 시장에 장을 보러 갔습니다. 때마침 시장에는 차례음식을 장만하기 위해 나온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배나 사과와 같은 차례용 과일을 사기 위해 줄을 서고 있었습니다. 배를 사기 위해 줄을 거있던 한은이는 배의 가격이 지난주 천원에서 삼천원으로 올라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배의 가격은 왜 이렇게 올랐을까요?

① 배를 사고자 하는 시장의 수요가 늘어서

② 배를 팔고자 하는 시장의 공급이 늘어서

③ 배의 수요와 공급이 변하지 않고 일정해서

④ 사과를 팔고자 하는 시장의 공급이 늘어서

Q2. 수요의 법칙이란 무엇인가요?

①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이 늘어나는 현상

②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늘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이 줄어드는 현상

③ 가격과 수요량은 관계가 없는 현상

④ 공급자가 수요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현상

Q3. 공급의 법칙이란 무엇인가요?

①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줄고,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늘어나는 현상

②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고,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줄어나는 현상

③ 가격과 공급량은 관계가 없는 현상

④ 수요자가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현상



1.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요.

2. 가격은 언제 오르나요?

-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올라요.

- 공급이 감소해도 가격이 올라요.

3. 가격이 변하면 수요량과 공급량은 어떻게 변하나요?

-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이 늘어나요

-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어나요.

3. 조류 독감이 발생했는데 왜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나요?

- 닭고기와 돼지고기는 대체재이지요.

- 그래서 조류 독감이 발생하면 닭고기 보다 돼지고기가 많이 팔려요

- 많은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사려고 하니까 돼지고기 가격이 올라요.

내용

1. 경제를 왜 알아야 하나요?
2. 우리는 왜 선택을 해야 하나요?
3. 재화와 서비스가 무엇인가요?
4. 생산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5. 인적자본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6. 더 많이 생산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7. 저축은 왜 해야 하나요?
8. 저축은 어떻게 하나요?
9. 주식투자는 어떻게 하나요?
10.어떻게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요?
11.신용이 왜 중요한가요?
12.왜 돈을 사용해서 거래를 하나요?
13.돈을 무엇으로 만드나요?
14.시장과 보이지 않는 손
15.가격은 누가 결정하고 왜 변하나요?
16.기업은 왜 경쟁하나요?
17.무역을 왜 하나요?
18.꼭 국산품을 사야 하나요?
19.국가는 왜 세금을 걷나요?
20.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
21.실업이란 무엇인가요?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