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과 기후변화
1.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국제사회 압박 증대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15년 12월 파리기후협정에서 지구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2℃보다 훨씬 아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 아래로 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한편 IPCC는 2018년 발표한 「1.5℃ 특별보고서」를 통해 전 지구적으로 지구평균온도 상승폭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45% 이상 감축해야 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주요 국제논의 진행 경과
주요국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에 따라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주요국들은 2050년 탄소중립(Net Zero Emissions) 달성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위한 중간목표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기준년도(국별로 상이) 대비 40~55% 수준으로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감축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2020년에 “2050 탄소중립” 목표 선언에 이어 2021년에는 NDC 감축목표를 상향조정하여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2018년 727.6백만톤 → 2030년 436.6백만톤)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주요국의 新전략 추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EU의 그린딜 산업계획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주요국들은 기후대응과 에너지전환을 자국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 (감축 목표) '50년까지 탄소중립, '30년까지 '05년대비 50~52% 감축
- (인플레이션 감축법)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3,690억$ 투자 추진('22~)
- (감축 목표) '50년까지 탄소중립, '30년까지 '90년대비 55% 감축
- (탄소 국경 조세제도) 철강 등 6개 품목에 대해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26~)
- (RePowerEU) 에너지 소비절감, 공급망 다변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발표(22.5월)
- (감축 목표) '50년까지 탄소중립, '30년까지 '90년대비 68% 감축
- (원전확대) 에너지안보를 위하여 '50년까지 최대 8기 추가 건설 계획 발표 ('22)
- (감축 목표) '50년까지 탄소중립, '30년까지 '13년대비 46% 감축
- (감축 목표) '50년까지 탄소중립, '30년까지 '18년대비 40% 감축
- (법 제정) 탄소중립기본법 제정('21)
脫탄소 경제 진전
특히 EU의 탄소국경 조정제(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도입 예정(2026.1 월), 글로벌 기업들의 RE100 및 ESG경영 참여 확대 등으로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이 무역장벽화 되면서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탈탄소 경제체계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제사회의 실질적인 규제가 임박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수출기업과 관련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공급망 전반에 걸쳐 저탄소 생산구조로 시급히 전환해야하는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 중앙은행의 기후변화 대응
중앙은행 기후대응 신중론
중앙은행이 물가 및 금융안정 등 고유의 책무 외에 고용, 소득분배, 기후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찬반 견해가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신중론자들은 중앙은행이 기후변화 등 특정 사회이슈에 대응하는 것은 ① 법적 권한을 넘어서는 일로, ②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위협하고, ③ 시장매커니즘을 해치므로 중립성(Neutrality)에 위배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파월 연준의장은 최근까지 의회증언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특정 산업에 혜택 또는 불이익을 주는 결정은 선출직 공무원(정부)의 역할이라는 보수적 견해를 견지하고 있다.
중앙은행 기후대응 찬성론
반면 찬성론자들은 ① 기후변화의 물리적리스크 및 전환리스크가 중앙은행의 책무인 물가안정 및 금융안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② 기후변화 리스크의 과소평가로 인해 자원배분에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는 점, ③ 중앙은행의 자산매입정책이 고탄소기업에 편향되어 있다는 점 등을 제기하면서 중앙은행이 기후변화에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중론 논리 | 찬성론 논리 |
---|---|
|
|
|
|
|
|
기후리스크 대응에 대한 공감대 형성
2010년대 중후반 이후 국제사회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노력이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중앙은행들도 기후변화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 및 탄소중립경제로의 전환 등이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는데 대해 중앙은행들간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기후변화 리스크의 금융‧실물경제 파급 경로
주요국 중앙은행 대응방향
이에 따라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주로 금융안정 차원에서 리스크 평가, 감독체계 마련, 조사연구, 커뮤니케이션 등에 집중하여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기관 | 기후변화 대응 전략 |
---|---|
미 연준 |
|
ECB |
|
영란은행 |
|
뉴질랜드 중앙은행 |
|
스웨덴 중앙은행 |
|
헝가리 중앙은행 |
|
일본은행 |
|
통화정책 대응
통화정책 운영에 있어 기후변화를 직접 고려하는 데에는 기존 책무와의 상충 가능성 등으로 아직 주요국간 이견이 존재하지만, 2020년을 전후하여 ECB, 영국, 일본 등 일부 중앙은행들이 통화정책에 있어 기후변화를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중앙은행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통화정책 수단은 크게 대출제도, 담보대출, 자산매입 등 3가지로 구분된다.
NFGS(2021.3)가 제안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활용가능한 통화정책 수단
구분 | 세부 방식 | 주요 내용 |
---|---|---|
대출 제도 | ① 대출금리 조정 |
|
② 담보별 차등금리적용 |
|
|
③ 대출 대상기관 조정 |
|
|
담보 제도 | ④ 헤어컷 조정 |
|
⑤ 네거티브 스크리닝 |
|
|
⑥ 포지티브 스크리닝 |
|
|
⑦ 담보풀 조정 |
|
|
자산 매입 | ⑧ Tilting |
|
⑨ 네거티브 스크리닝 |
|
|
⑩ 포지티브 스크리닝 |
|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